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간예술로서 뉴미디어 아트의 기호학적 작품분석

이용수 67

영문명
A Study on Semiotic Analysis of New Media Art as Spatial Art: Focusing on the Works of Jeffrey Shaw, Tamas Waliczky, Christa Sommerer, Laurent Mignonneau, and Miroslaw Rogala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추은영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5권 11호, 1025~103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뉴미디어 아트의 예술적 상징성은 그 개념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기호에 관한 규정을 바탕으로 가능하다. 뉴미디어 아트의 현대 공학적 예술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소쉬르와 바르트의 기호학 이론을 정리한 후, 1960년대 이후 해외 뉴미디어아트의 대표작가인 제프리 쇼, 타마스 왈리츠키, 크리스타 솜머러와 로랑 미뇨노, 미로슬로 로갈라의작품을 바르트의 텍스트 이론으로 분석하였다. 쇼와 왈리츠키의 작품은 관람객의 참여로 외연과 내포의커뮤티케이션이 이루어지며 새로운 가상의 촉각공간을 형성하여 뉴미디어에서의 공간확장을 도모한다. 솜머러와 미뇨노 작품은 관람객의 주도로 가상공간을 창출하여 작품 안에서의 일체화를 통한 공간확장을 유도한다. 로갈라는 내부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외연과 관람객의 동선에 의해 발생하는 공간 사이의간극으로 유기적 공간의 형성을 도모한다. 이와 같은 작품의 기호학적 구조의 분석은 미디어 아트 영역에서 분석의 폭을 확장하며 창작을 위한 또 하나의 기반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artistic symbolism of new media art is closely related to its concept and is based on the regulations on socially used symbols. To explore the new possibilities of new media art as modern engineering art, we first summarize the semiotics theories of Saussure and Barthes and then analyze the works of Shaw, Waliczky, Sommerer, Mignonneau, and Rogala, representative new media artists since the 1960s, based on Barthes’s theory of the Text. The works of Shaw and Waliczky aim to expand space in new media by forming a new tactile space with the participation of visitors. The works of Sommerer and Mignonneau create virtual spaces led by visitors to induce space expansion through integration within the work. The works of Rogala promote the formation of a closely related space by the gap between the dinotation where the inner deformation takes place and the space created by the movement of the visitors. This kind of semiotic analysis of artworks can help expand the breadth of analysis in the field of media art and build another foundation for creation.

목차

1. 서론
2. 기호학(Semiotics)의 정의
3. 공간예술로서의 뉴미디어 아트의 의의
4. 뉴미디어 아트 대표작가 작품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추은영. (2023).공간예술로서 뉴미디어 아트의 기호학적 작품분석. 문화와융합, 45 (11), 1025-1038

MLA

추은영. "공간예술로서 뉴미디어 아트의 기호학적 작품분석." 문화와융합, 45.11(2023): 1025-10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