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시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 사례 연구

이용수 114

영문명
Cultural Revitalization of Vacant Urban Spaces: Focused on Le Centquatre in Paris and Kulturbrauerei in Berli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민영 장혜원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5권 10호, 1179~119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도시유휴공간은 산업혁명을 통해 등장한 2차산업 시설이 기술 및 과학의 발달과 도시인구 집중화 현상에 따라 그 목적과 기능을 상실하고 방치된 공간을 뜻한다. 문화적 재생을 통해 재탄생한 유휴공간은도시의 근대산업 유산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되, 문화시설로서 그 기능을 지속시키고 새로운 문화생산을 실현하는 공간이다. 본 연구는 파리 르 쌍캬트르와 베를린의 쿨투어브라우어라이 사례 연구를 통해국내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 현황과 현재의 운영방식의 취약점에 대해 알아보고 도시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의 질적인 향상을 끌어낼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현장과 이론과의 간극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예술적 기능 습득을 위한교육이 아닌 아동·청소년의 심미적인 문화교육을 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정부 기관과 지역이 협업하는 작가 발굴 및 양성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아카이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다양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의 지속 가능한활성화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Vacant urban spaces refer to the abandoned areas resulting from the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advancements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coupled with urban population concentration. These former secondary industrial facilities lost their original purpose and function as spaces, becoming neglected and left unu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vulnerabilities of cultural regeneration in domestic vacant urban spaces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By examining case studies of Le Centquatre and Kulturbrauerei . As a result, the researchers derive various approaches and new directions to enhance the qualitative aspects of cultural regeneration for vacant urban spaces : Firstly, research should focus on developing diverse programs and systems that bridge the gap between practical experience and theoretical knowledge. Secondly, providing spaces that foster aesthetic and fundamental cultural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rather than merely instructive art training, is crucial. Thirdly, there is a need to propose and support collaborative programs for artist discovery and development. Fourthly,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archiving and study various methodologie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cultural regeneration of vacant urban spaces will be sustainably activated.

목차

1. 서론
2. 국내 사례 연구
3. 해외 사례 연구 및 비교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민영,장혜원. (2023).도시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 사례 연구. 문화와융합, 45 (10), 1179-1191

MLA

이민영,장혜원. "도시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 사례 연구." 문화와융합, 45.10(2023): 1179-11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