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스마트폰 과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이용수 93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ve on of Mother-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us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윤형(Yun-hyeong Choi) 이희영(Hee-yeong Lee) 최태진(Tae-Jin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529~539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스마트폰 과사용에 대한 어머니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방법 국내에 거주하는 만 3세에서 만 5세까지의 자녀를 둔 301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 태도, 어머니의 미디어 중재, 어머니의 놀이 참여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별 투입 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 태도, 미디어 중재, 놀이 참여의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향이 낮다. 하지만 어머니의 미디어 중재나 놀이 참여의 노력 등이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 태도가 전제되지 않으면 도움이 되지 않는 요인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어머니의 미디어 중재나 놀이 참여가 중요한 요인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 태도가 전통적 발달 과정의 문제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 해결에 주요 기능임을 보여주며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 태도를 전제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다양한 미디어 중재 및 놀이 참여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d by selecting mother-related variables on for young children overuse of smartphones.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01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living in Korea. A step by 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the mother's media intervention, and the mother's participation in play on early childrens smart pones of us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higher the level of the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media intervention, and play participation, the lower the child's tendency to be overly immersed in smartphones. However, the mother's media mediation or efforts to participate in the play may be factors that are not helpful unless the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is premised. However, it cannot be said that the mother's media mediation or play participation is not an important factor.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is a major function in solving not only the traditional development process but also vari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suggesting that children's dependence on smartphones requires various media interventions and play participation effor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형(Yun-hyeong Choi),이희영(Hee-yeong Lee),최태진(Tae-Jin Choi). (2024).유아의 스마트폰 과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529-539

MLA

최윤형(Yun-hyeong Choi),이희영(Hee-yeong Lee),최태진(Tae-Jin Choi). "유아의 스마트폰 과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529-5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