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과 돌봄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용수 124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Care Service Quality of Elderly Welfare Facility Work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차은주(Eunju Cha) 이윤주(Yunju Lee) 최웅용(Woongyong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609~62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돌봄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돌봄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감소를 위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대구지역 소재 노인복지시설종사자 94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 0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감정노동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00점, 돌봄서비스 질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90점, 직무스트레스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67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은 돌봄서비스 질에는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직무스트레스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돌봄서비스 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노동과 돌봄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과 돌봄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중요한 매개 요인임을 증명하였으며, 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돌봄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들을 밝혀냄으로써 돌봄서비스 질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f workers at elderly welfare facilities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Through this, the purpose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that affect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Methods For this purpose, 94 workers at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the Daegu a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3 0.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Results First, the average of emotional labor was 3.004 out of 5, the average of care service quality was 3.898 out of 5, and the average of job stress was 2.667 out of 5. Second,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and a positive effect on job stress, and job str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Third, job stress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quality of care services. Conclusions This study proved that job stress is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of elderly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By verifying the major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for workers at elderly welfare facilitie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that can increase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은주(Eunju Cha),이윤주(Yunju Lee),최웅용(Woongyong Choi). (2024).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과 돌봄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609-620

MLA

차은주(Eunju Cha),이윤주(Yunju Lee),최웅용(Woongyong Choi). "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과 돌봄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609-6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