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언어 간 대조를 근거한 한국어 교재 개발

이용수 32

영문명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Based on Languages Contras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마에무라카즈아키(Maemura Kazuak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147~16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을, -는’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내용과 ‘-u형’의 교수내용을 대조한 결과를 난이도를 고려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이용한다. 방법 ‘-을, -는’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내용을 ‘-u형’의 교수내용과 대조하는데, ‘-을, -는’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내용은 존재하는 개수로 대응할 경우, 대응하지 못할 경우로 크게 분류하고 대응할 경우를 출현 빈도, 존재하는 개수로 일대일 대응할 경우, 일대일 대응하지 못할 경우로 분류한다. 결과 ‘-을, -는’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내용은 일대일 대응할 경우, 일대일 대응하지 못할 경우, 대응하지 못할 경우로 균형있게 분포하였다. 일대일 대응할 경우가 난이도가 낮고 대응하지 못할 경우가 난이도가 높다. ‘-을, -는’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내용은 일대일 대응할 경우에서 대응하지 못할 경우로 단계적으로 배열한다. 결론 개발할 한국어 교재는 ‘-을, -는’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내용을 일대일 대응할 경우, 일대일 대응하지 못할 경우, 대응하지 못할 경우로 단계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uses the results of contrasting contents of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of ‘-을, -는’ and the teaching contents of ‘-u-type’ to develop Korean textbooks considering the difficulty level. Methods When contrasting contents of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of ‘-을, -는’ and the teaching contents of ‘-u-type’, contents of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of ‘-을, -는’ are largely classified as responding and not responding..The frequency of appearance, number of existing classifies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of ‘-을, -는’ as case of one-on-one response, case of no one-on-one response, case of no response. Results Contents of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of ‘-을, -는’ were distributed in a balanced as case of one-on-one response, case of no one-on-one response, case of no response. Case of one-on-one response are low in difficulty and case of no response have a high level of difficulty.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of ‘-을, -는’ is arranged in case of one-on-one response, case of no one-on-one response, case of no response. Conclusions Th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to be developed should be phased from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of ‘-을, -는’ to case of one-on-one response, case of no one-on-one response, case of no response.

목차

Ⅰ. 서론
Ⅱ. 언어 간 대조와 난이도 결정
Ⅲ. 연구 방법
Ⅳ. ‘-을, -는’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필요한 내용의 대조
Ⅴ. 난이도를 고려한 한국어 교재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마에무라카즈아키(Maemura Kazuaki). (2024).언어 간 대조를 근거한 한국어 교재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147-161

MLA

마에무라카즈아키(Maemura Kazuaki). "언어 간 대조를 근거한 한국어 교재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147-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