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운영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240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f Early Cchildhood Tteachers’ Eexperiences in Operating Digital E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혜원(Hyewon Kang) 홍성호(Seongho Hong) 김미진(Mijin Kim) 김정은(Jongun Kim) 김지희(Jihee Kim) 박지은(Jieun Park) 정지인(Jiin J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673~69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경험과 운영사례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본질적으로 이해하며 면접과 심층적 기술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활용 경험과 운영, 디지털 교육 운영에 대한 요구를 도출하며 교육현장에 효과적인 적용을 제안하였다. 방법 인천시의 어린이집에서 디지털 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7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료 수집은 2024년 4월 25일부터 26일까지 초점집단면접법으로 연구 참여자의 상황에 맞추어 집단대면 상호작용의 방법으로 이루어졌고 질적자료 분석절차에 따라 해석, 코딩, 분류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활용 경험은 ’디지털 매체의 교육적 가치’, ‘디지털 교육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역할’, ‘디지털 교육의 긍정적 경험’, ‘다이내믹한 놀이를 실현하는 디지털 교육’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교육 운영 경험은 ‘디지털 교육 운영을 위한 교실환경’, ‘디지털 매체 선정과 활용’, ‘유아교사를 발전하게 하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교실 운영’,‘재정 영향을 받는 디지털 교육’으로 나타났고, 디지털 교육 운영에 대한 요구는 ‘디지털 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한계점’, ‘디지털 매체 교육을 운영하는 과정에서의 고민’,‘디지털 교육의 발전 방안’,‘우리의 목소리가 공존하는 디지털 매체 활용 교육’,‘유아도, 부모도 모두가 디지털에 안전한 세상을 위한 리터러시 교육’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역할은 적합한 디지털 매체와 연결, 초등교육과정과 연계되는 중요성 인식, 교사의 디지털 매체 활용 역량에 따라 수업의 수준 차이가 나타남을 이해하는 것으로 볼수 있다. 교육 현장의 디지털 교육 운영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교육과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유아교사는 디지털 교육의 편리함에 치중하지 않는 의지와 스스로 경각심을 갖는 자세가 필요하고 유아들에게 디지털 매체를 지원할 때 안전하고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과 더불어 중독예방, 시간제한의 필요성을 교육하면서 균형 잡힌 시각의 형성을 돕고 부정적인 것을 걸러내는 거름망 역할이 되어야 한다는 나아갈 방향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We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phenomenon that appear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education experiences and operation cases, and through interviews and in-depth technology, we derived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education use experience and operation and demands for digital education operation, and proposed effective appli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Methods Seven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digital education experience at a daycare center in Incheon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rom April 25 to 26, 2024, through group face-to-face interaction tailored to the circumsta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of interpretation, coding, an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cedures. was analyzed. Results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digital education were as follows: ‘educational value of digital media’,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utilizing digital education’, ‘positive experience of digital education’, and ‘digital education that realizes dynamic play’. Digital education operation experience was expressed as ‘classroom environment for digital education operation’, ‘selection and use of digital media’, ‘classroom operation using digital media to develop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igital education influenced by finances’. , The demands for operating digital education includ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digital education,’ ‘concerns in the process of operating digital media education,’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education,’ and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where our voices coexist.’ ','Literacy education for a digitally safe world for both children and parents.’ Conclusions The role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can be seen as connecting with appropriate digital media,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linking with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that the level of class varies depending on the teacher's ability to use digital media. In order to operate digital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professional education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must be supported.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a willingness to not focus on the convenience of digital education and an attitude of self-vigilance. When providing digital media to young children, they need to have a balanced perspective by teaching them how to use digital media safely and correctly, as well as the need to prevent addiction and limit tim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has derived a direction that should help in the formation of and act as a filter to filter out negative th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혜원(Hyewon Kang),홍성호(Seongho Hong),김미진(Mijin Kim),김정은(Jongun Kim),김지희(Jihee Kim),박지은(Jieun Park),정지인(Jiin Jeong). (2024).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운영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673-691

MLA

강혜원(Hyewon Kang),홍성호(Seongho Hong),김미진(Mijin Kim),김정은(Jongun Kim),김지희(Jihee Kim),박지은(Jieun Park),정지인(Jiin Jeong).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운영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673-6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