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olman과 Deal의 네 가지 프레임으로 바라본 대학의 학과 통폐합 사례 연구

이용수 146

영문명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Department Mergers and Phasing Out Through the Lens of Bolman and Deal's Four Fram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유예림(Ye-lim Yu) 서재영(Jae Young Se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727~74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통폐합 학과 사례를 Bolman과 Deal의 네 가지 프레임 모델에 기초하여 구조적, 인적자원, 정치적, 상징적 변화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사립대학의 공학계열 학과 1개와 국립대학의 예체능계열 학과 1개에 대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 및 심층 서면 인터뷰를 통해 통폐합 학과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교수와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여 기초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보완하였다. 이후 통폐합 학과의 변화를 Bolman과 Deal의 네 가지 프레임인 구조적, 인적자원, 정치적, 상징적 변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구조적’ 틀에서는 교육과정 유연화와 최신화, 학생 선택권 보장 등의 긍정적 변화가 확인되었으나 수업 부담 경감, 실질적 과목 선택권 보장, 전문성 확보는 해결해야 할 과제였고, 학과 통합 초기 행정조직 및 학생회 조직의 이원화로 인한 소속감 문제와 지원 강화의 필요성도 확인하였다. ‘인적자원’ 틀에서는 학과 통합으로 진로 선택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신입생 충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초기 홍보 미흡으로 단기적 효과가 제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학생 측면에서도 융합 교육을 통한 진로 다변화와 만족도 증대의 긍정적 측면이 발견되었으나, 학과 개편 방향 및 효과에 대한 홍보와 의견 수렴 절차 강화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정치적’ 틀에서는 이해관계자 간 입장 차이와 성공적 통합을 위한 자원 배분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상징적’ 틀에서는 학령인구 감소와 사회 수요 대응을 위한 학과 통합의 필요성이 전면에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 학과 통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계기는 다양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결론 학과 통폐합 사례분석을 통해 대학 내에서 학과 통폐합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대학이 통폐합 대상을 결정하고 통폐합 학과를 지원할 때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과 학과에서 통폐합을 준비하거나 대응할 때 유념해야 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cases of merging and phasing out of university departments using Bolman and Deal's four-frame model, focusing on structural, human resource, political, and symbolic changes. Methods To conduct a case study on one engineering department at a private university and on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at a national university,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and in-depth written interview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reliminary research,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arried out with with faculty, current students, teaching assistants, and alumni to supplement the data collected.. Subsequently, changes in merged and phased-out departm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Bolman and Deal's four frames: structural, human resource, political, and symbolic changes. Results In the structural frame, positive changes such as curriculum flexibility, modernization, and student choice were observed. However, issues such as ensuring choice, securing expertise, and alleviating teaching burdens remained unresolved. Additionally, initial administrative and student organization dualities created issues of belonging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increased support. In the human resource frame, department consolidation expanded career choices and positively impacted new student enrollment, though initial promotional efforts were insufficient, leading to limited short-term effects. Despite increased career diversification and satisfaction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the need for enhanced communication regarding department reorganization and feedback collection was identified. The political frame examined stakeholder position differences and resource allocation strategies for successful integration. In the symbolic frame, while the necessity of consolidating departments to address declining student populations and societal demands was emphasiz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easons for actual consolidations are varied. Conclusions The case analysis of merging and phasing out of university departments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phenomena that may arise within universities during such processes and offers insights. Recommendations are provided on key considerations for universities when deciding on consolidation targets, supporting consolidated departments, and preparing for and responding to consolid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예림(Ye-lim Yu),서재영(Jae Young Seo). (2024).Bolman과 Deal의 네 가지 프레임으로 바라본 대학의 학과 통폐합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727-745

MLA

유예림(Ye-lim Yu),서재영(Jae Young Seo). "Bolman과 Deal의 네 가지 프레임으로 바라본 대학의 학과 통폐합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727-7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