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이용수 86

영문명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for Nursing Education(K-SDLRSN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허윤라(Yun Ra Hur) 이지은(Ji Eu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555~56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도구(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번안과 역번역 과정을 거쳐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도구(K-SDLRSNE)를 구성하였다. 대상자는 B, G 광역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371명을 편의 표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도구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고,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5개의 요인(자기관리, 학습 전반에 대한 책임, 학습열의, 호기심, 자기통제), 24문항으로 최종 분류되었다. 5개의 하위요인은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해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CFI=.88, GFI=.86, IFI=.88, RMSEA=.07), 신뢰도는 Cronbach's α= .92, 설명력은 61.81%이었다. 결론 K-SDLRSNE는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수렴 및 판별 타당도와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검증되어 국내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도구는 한국 간호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of Korean language for nursing educations. Methods Through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processes, the K-SDLRSNE was constructed. The subjects randomly represented 371 nursing students located in B and G metropolitan citi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SPSS Statistics 26.0 and AMOS 26.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is tool confirmed the construct validit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ecured reliability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ve factors (self-management, responsibility for learning in general, learning enthusiasm, curiosity, self-control), and 24 questions were finally classified. Five sub-factors were valida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I=.88, GFI=.86, IFI=.88, RMSEA=.07), the reliability was Cronbach's α=.92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61.81%. Conclusions K-SDLRSNE confirmed that content validity, composition validity, convergence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ere verified and applied as a tool to closely measure nur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 Korea. Therefore, this tool could be an appropriate tool for measur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of Korean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윤라(Yun Ra Hur),이지은(Ji Eun Lee). (2024).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555-565

MLA

허윤라(Yun Ra Hur),이지은(Ji Eun Lee).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555-5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