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내 인권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64

영문명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Human Right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of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지혜(Jee Hae Choi) 남기화(Ki Hwa Nam) 이하늘(Ha Neul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163~17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을 인권교육의 내용요소 별로 분석하여 학교급별, 인권교육 영역별 현황을 확인하고 특수교육에서 인권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인권교육 관련 선행연구의 분석 틀을 활용하여 2022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자 간 신뢰도 및 전문가 내용 타당도를 시행하여 분석 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학교급별 분석 결과 초등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인권교육 영역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영역에서는 Ⅰ. 인권 존중의 가치와 태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에서는 Ⅰ-3. 인권적 가치와 태도의 영역이 매우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학년군별 인권교육영역 분석결과는 대영역의 경우 모든 학년군에서 Ⅰ. 인권 존중의 가치와 태도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하위영역의 경우 초등학교급은 Ⅰ-3. 인권적 가치와 태도와 Ⅱ-1. 자유권적 인권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중학교, 고등학교급은 Ⅰ-3. 인권적 가치와 태도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결론 분석 내용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전인적인 인권교육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권교육의 내용요소가 교육과정의 학년군별로 계열성과 연계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by content elem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each school level and human rights education are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Methods In this study, the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were analyzed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human rights edu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nalysis results, the reliability between analysts and the validity of the expert content were implemented. Results Elementary school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middle and high school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I. respect for human rights in the major area, and I-3. Human rights values and attitudes in the sub-area showed a very high percentage. The analysis results of human rights education by grade group showed that in all grade groups, I. respect for human right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in the sub-area, I-3. Human rights values and attitudes and II-1. Freedom right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hil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human rights values and attitude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teachers need to construct a holistic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restructuring. Second, the content elem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need to be sequenced and connected by grade group of the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혜(Jee Hae Choi),남기화(Ki Hwa Nam),이하늘(Ha Neul Lee). (2024).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내 인권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163-175

MLA

최지혜(Jee Hae Choi),남기화(Ki Hwa Nam),이하늘(Ha Neul Lee).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내 인권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163-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