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행동기준 평정척도(BARS)를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대학의 의사소통역량을 중심으로

이용수 85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re Competency’s Measurement Tool of University Students, Applying the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BARS): Focusing on D University’s Communication Capabilit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다희(Da-Hee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461~48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D대학의 의사소통역량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대학교육 및 대학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경험이나 행동에 기반한 행동기준 평정척도를 적용하여 핵심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6단계의 체계적 연구절차에 따라 적합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핵심역량 분석 및 역량 모델링, 교수 대상의 FGI와 학생 대상의 BEI를 통한 우수학생 행동특성 분석,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및 타당성 검증, 파일럿 테스트, 체계 및 정의서와 측정도구의 최종화 단계를 거쳤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합성 높은 핵심역량체계 및 역량 정의서를 도출하는 체계적 역량 모델링 과정을 수행하였다. 둘째, 교수 및 학생 대상의 인터뷰를 통해 하이퍼포머(高성과 학생) 행동특성을 분석하여 행동기준 평정척도에 반영하였다. 셋째, 정합성 높은 핵심역량 측정도구(초안)를 확정하였다. 넷째,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핵심역량 측정도구(수정본)를 잠정적으로 도출하였다. 다섯째, 핵심역량 측정도구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여섯째, 최종화 단계를 통해 핵심역량체계 및 정의서, 핵심역량 측정도구를 확정하였다. 결론 D대학의 의사소통역량을 중심으로 행동기준 평정척도 기반의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각 대학의 핵심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을 제안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y’s measurement tool and secure its validity by focusing on the D University’s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applying the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based on experiences or behaviors closely related to students’ university education and life. Methods This study applied appropriate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a six-step’s systematic research procedure, including core competency analysis and competency modeling, analysi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students through FGI for professors and BEI for students,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y’s measurement tool through expert council, validation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pilot test and analysis, and finalizations stage of system, definition, and measurement tool.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ompetency’s system and definition with a high consistent were derived through a systematic competency modeling process. Seco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yperformers(high-performing students) were analyzed through interview with professors and students and reflected in the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Third, the core competency’s measurement tool(draft) with a high consistent were confirmed. Fourth, a core competency measurement tool(revised version) was tentatively derived by verifying its validity through two expert delphi surveys. Fifth, a pilot test was conducted to improve effectiveness of the core competency’s measurement tool,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secured. Sixth, the finalizations stage was completed, and the system, definition, and measurement tool of core competencies were confirmed. Conclusions By developing a core competency’s measurement tool based on the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focusing on D University’s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then revealing the process of securing reliability and validity, It c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suggesting alternative methods to objectively measure the core competencies of each univers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다희(Da-Hee Lee). (2024).행동기준 평정척도(BARS)를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대학의 의사소통역량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461-482

MLA

이다희(Da-Hee Lee). "행동기준 평정척도(BARS)를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대학의 의사소통역량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461-4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