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팀티칭 보육교사의 교육과정운영 자율성과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가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2

영문명
The Effect of Team Teaching Child-Care Teacher's Curriculum Operation Autonomy and Fellow Teacher's Social Support on Play Support Competenc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전은정(Eun-Jeong Jeon) 김정은(Jung-Eu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97~11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팀티칭 보육교사의 교육과정운영 자율성과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 및 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현재 팀티칭 학급을 운영하는 보육교사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여기서 회수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팀티칭 보육교사의 교육과정운영자율성은 5점 척도에서 평균 4.09점,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평균 4.02점, 놀이지원역량은 평균 4.16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티칭 보육교사의 교육과정운영 자율성,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 놀이지원역량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티칭 보육교사의 교육과정운영 자율성과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가 놀이지원역량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역량 49.1%, 정의적 역량 44.1%, 실천적 역량 57.7%로 설명하였으며 놀이지원역량 하위요인에 공통적으로 유아중심 놀이 환경 및 상호작용,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참여, 융통성 있는 일과 운영, 평가적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적지지가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의미 있는 놀이 환경 및 상호작용, 교사의 반성적 자기성찰과 동료교사의 인정과 칭찬이 함께 했을 때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개정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보육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높이기 위해 팀티칭 보육교사의 환경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지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m teaching childcare teachers' curriculum operation autonomy and fellow teachers' social support on play support competency.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7 childcare teachers currently operating team-teaching classes at childcare centers in the Busan and Gyeongnam reg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eam teaching childcare teachers' curriculum management autonomy averaged 4.09 on a 5-point scale, the social support from fellow teachers averaged 4.02, and the ability to support play averaged 4.16.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eam teaching childcare teachers' curriculum operation autonomy, fellow teachers' social support, overal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all its sub-factors. Third, the curriculum operation autonomy of team teaching childcare teachers and fellow teachers' social support explained 49.1% of cognitive competency, 44.1% of affective competency, and 57.7% of practical competency, which are sub-factors of play support competency. Common factors affecting these sub-factors included a child-centered play environment and interactions, collaboration and participation with families and the community, flexible daily routines, and evaluative support, with evaluative support being the most explanatory. Conclusions The meaningful play environment and interactions, along with reflective self-assessment by educators and recognition and praise from peers, indicate the potential for enhancing the play support capabilities of childcare teachers. Therefore, efforts to analyze and support the team-teaching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implementing revised educational curricula are necessary to enhance their play support cap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은정(Eun-Jeong Jeon),김정은(Jung-Eun Kim). (2024).팀티칭 보육교사의 교육과정운영 자율성과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가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97-111

MLA

전은정(Eun-Jeong Jeon),김정은(Jung-Eun Kim). "팀티칭 보육교사의 교육과정운영 자율성과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가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97-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