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163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Character Education Program Grafting Design Think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용(Yong Cho) 김종미(Jong-mi Kim) 홍후조(Hoo-Jo H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113~13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 교육과정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교 내에서 적용한 후 피드백을 받아 보완되었으며, 단일 집단 사전-사후 검사에서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인성 소양 함양 정도와 프로그램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인성교육 전략에 참여한 학생들의 의견조사와 개인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의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개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구성, (2)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 교육과정 유형 설정, (3)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교육의 9개 프로그램 개발, (4)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내용 설계, (5) 인성 소양 함양 정도 확인 등 이다. 이러한 다섯 가지 측면에서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효과성이 확인되었다. 결론 첫째,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인성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인성교육과 디자인 씽킹의 접목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 셋째, 학교, 가정,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한 인성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정책적 지원과 교육환경 개선이 필수적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structure the content framework of a middle school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by grafting design thinking and to develop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Methods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within the school and supplemented by receiving feedback,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using a paired-sample t-test in a single group pre- and post-test. Through this, the degree of students' character literacy development and the adequacy of the program were evaluated. In addition, we analyzed the opinions collected through opinion surveys and personal interview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ach character education strategy. Results The detailed resul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as follows. (1) Construction of middle school character curriculum content system grafting design thinking, (2) Establishment of middle school character curriculum types grafting design thinking, (3) 9 programs of middle school character education grafting design thinking, (4) The design content of the middle school character education program grafting design thinking, (5) The degree of character literacy cultivation. In these five aspects,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middle school character education program graftin design thinking was confirmed. Conclusions Firstly, a curriculum for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character curriculum is needed for the holistic growth of students. Secondly, combining character education and design thinking creates a synergistic effect. Thirdly, character education must be strengthen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schools, families, and communities. Fourthly, policy support and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re essentia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개발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Yong Cho),김종미(Jong-mi Kim),홍후조(Hoo-Jo Hong). (2024).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113-132

MLA

조용(Yong Cho),김종미(Jong-mi Kim),홍후조(Hoo-Jo Hong).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113-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