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TCIT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48

영문명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CIT(Teacher-Child Interaction Training)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Ability of Early Childhood Care Center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지혜(Ji Hye Kang) 조용선(Yong-Sun Ch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403~42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TCIT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전국 어린이집 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DDIE 모형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구안한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적용하고 통제 및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Fritz(1999)가 개발한 의사소통능력척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회기별 소감문, 프로그램 적용일지 등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프로그램의 구안방향,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정한 후, 회기별 활동목표 및 내용, 운영전략 등을 구안한 다음, 전문가 타당화 과정을 거쳐 최종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최종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의사소통 척도 전체점수와 하위요인 점수가 통제 및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실험집단 참여자들의 기억, 집중, 이해와 해석, 반응, 분석과 평가 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TCIT 기반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실제적으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이 현저히 부족한 현실을 감안할 때,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현장적용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erapy (TCIT)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early childhoo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needs of 215 early childhood daycare center teachers nationwide were surveyed, and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ADDIE model. The design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its effects were analyzed by comparing it with a comparison group and a control group using the Communication Ability Scale (Fritz et al., 1999).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7.0,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ession feedback reports, comprehensive feedback reports, and participants’ application logs from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Resul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directions for the design, as well as the purpose and objectives of the program, were established. Subsequently, session-specific activity goals, content, and operation strategies were designed. The final program was completed through an expert validation process. When the final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overall scores and sub-factor scores of the communication scale for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ub-factors of memory, concentration,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response, and analysis and evaluation improved among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 TCIT-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verifying its effectiveness in enhanci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ealry childhood daycare center teachers. By demonstrating greater effectiveness compared to a comparison program (TA), the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this program in practical settings. Given the notable lack of effective programs aimed at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preschool teachers, this study significantly increases the potential for future utiliz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프로그램 구안
Ⅴ. 프로그램 효과검증
Ⅵ.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혜(Ji Hye Kang),조용선(Yong-Sun Cho). (2024).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TCIT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403-422

MLA

강지혜(Ji Hye Kang),조용선(Yong-Sun Cho).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TCIT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403-4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