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그릿과 삶의 만족이 전환기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
이용수 69
- 영문명
- The Impact of Parental Grit and Life Satisfaction on Children's Grit: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현(Sanghyu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869~88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15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그릿의 두 하위요인인 흥미유지 및 노력지속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환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2차(5학년)~4차(중학교 1학년) 2,554명의 부모와 학생의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그릿과 삶의 만족이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의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의 그릿은 자녀 그릿의 하위요인 중 노력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의 삶의 만족은 자녀의 삶의 만족 및 자녀의 노력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의 그릿과 삶의 만족이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자녀의 삶의 만족은 자녀의 노력지속에 정적인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환기 자녀의 그릿과 삶의 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그릿과 삶의 만족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s and early adolescents on the impact of two sub-factors of grit,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on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2,554 parents and students from the second (5th grade) to fourth (1st middle school) waves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early adolescents' grit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First, parental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perseverance of effort, a subfactor of child grit. Second, parental lif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life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severance of effort. Third, in the interaction of parental grit and life satisfaction with child grit, child life satisfaction acted as a positive mediator of child perseverance of effort.
Conclusions In order to promote grit and life satisfaction in children during transition, parent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ir own grit and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9호 목차
- 전공 연계 ‘기후⋅생태계 챌린지’ 교외 교육활동의 효과성 연구: 예비유아교사의 환경관심도 및 기후환경 위험인식과 공동체 의식,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Bolman과 Deal의 네 가지 프레임으로 바라본 대학의 학과 통폐합 사례 연구
- 유아의 도덕적 판단 및 용서개념 연구: 유아의 연령을 중심으로
- ‘진지한 여가’로서 중년여성들의 ‘라인댄스 무용단’ 활동 경험
- 유치원 방과후 과정 운영 질 제고를 위한 사례연구
- 간호대학 교수의 이직의도 극복 경험
- 교사멘토링이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내외 교육 커먼즈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내 인권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학교폭력 가해자에 대한 경찰다이버전 정책 기반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 지식재산 일반 교과를 통한 특허명세서 작성 교육의 시사점 및 개선 방안
- 환경그림책을 이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5세 유아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체육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무경계진로태도가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제품구매 태도가 ESG 교육 및 홍보 필요도에 미치는 영향: ESG 중요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간호인계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 초등학생의 자기자비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팀티칭 보육교사의 교육과정운영 자율성과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가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핵심프로젝트 중심으로
-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학생 학습경험 분석: 경북 소재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수온 그래프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중학생들이 인식하는 인지적 부담에 대한 연구
- 디지털 활용 역량에 관한 예비 영유아 교사의 은유 분석
-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 모색: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중심
- 고등교육 질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는 수퍼바이저의 내러티브 탐구
- 뉴스 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이슈와 언어 문제 탐색: 2019-2024
- 신체도구를 활용한 유아 주도적 운동게임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공감특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잠재집단에 따른 또래관계 양상 차이와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검증
- 부모의 그릿과 삶의 만족이 전환기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
- 니트(NEET)청년 관련 연구동향 및 도전과제
-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와 학습 의지의 관계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연구: K 대학의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정치참여활동이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치의식의 매개효과
- 행동기준 평정척도(BARS)를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대학의 의사소통역량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운영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 인구교육을 위한 메모로 프로젝트 수업 설계 모형 개발
-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로 조절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과 돌봄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 자기성찰 및 통찰력이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역할기대, 역할수행, 재직의도
- 언어 간 대조를 근거한 한국어 교재 개발
- 유아대상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머신러닝과 HLM을 적용한 중학생의 자기조절 학습전략 중 행동조절에 대한 학생/부모와 교사/학교 수준의 영향요인 검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분석: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 학습자의 시간관리 및 자기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관리 모델 연구: 학습분석학적 접근으로
- 성인 상담라포와 상담회기평가 간 관계에서 작업동맹의 매개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TCIT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국어교사의 음성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선호도 및 감정 반응 조사 연구
- 유아의 스마트폰 과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 예비상담자인 상담심리 전공 학부생을 위한 그릿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혼란과 확신 사이에서 줄타기 하는 무전공 입학 대학생의 첫 학기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조직사회화, 팀워크가 전문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습양식 기반 학습전략 향상 모바일 앱 프로토타입 개발
- 문제중심학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
- 중년 대상 음악문화예술교육 연구 동향
- 국어의 조사를 대체하는 다단어 표현 연구: 체계기능언어학의 경험적 은유의 관점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기본심리욕구 연구 동향 분석
- 8주간 유산소운동이 여고생의 신체구성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영양지식이 식태도와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식태도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