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상담자인 상담심리 전공 학부생을 위한 그릿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이용수 178

영문명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a grit improvement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who are prospective counselo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지혜(Ji-hye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541~55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상담자들이 앞으로 상담자로서의 역량을 쌓아나가는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마음의 근력을 높일 수 있도록 그릿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그릿 향상 프로그램은 ADDIE 모형 개발 절차에 따라 개발 후 관련 전문가 2인에게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그릿 향상 프로그램은 1회 2시간씩(100분) 총 6회(12회기)로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의 직접적인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그릿 측정도구를, 간접적인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복탄력성 측정 도구를 활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Mann-Whitney U 검증을 실시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의 점수변화 비교를 위하여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Rank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비교를 위해서는 Mann-Whitney U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예비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그릿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그릿과 회복탄력성 모두 사전 평균에 비해 사후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서 그릿 향상 프로그램은 예비상담자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그릿 향상 프로그램은 예비상담자가 지난한 수련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전문성을 갖춘 상담자라는 목표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인생의 더 큰 도전에도 굴하지 않고 목표를 이룰 수 있는 힘을 갖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it improvement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o help prospective counselors increase their mental strength to flexibly respond to various stresses they ma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ir capabilities as counselors. Methods The grit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development procedure and its validity was confirmed by two relevant experts. The grit improvement program was operated for a total of 6 sessions (12 sessions), each time lasting 2 hours (100 minutes). A grit measurement tool was used to confirm the direct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a resilience measurement tool was used to confirm the indirect effectiveness. The Mann-Whitney U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score chang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comparison between groups, the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grit improvement program for prospective counselors, the post-average for both grit and resilienc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averag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grit improvement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grit and resilience of prospective counselors. Conclusions The grit strengthening program will help prospective counselors control the various stresses they may experience during the difficult training process and reach their goal of becoming a professional counselor. Furthermore, it will help them achieve their goal without giving in to bigger challenges in life. It will help you have the strength to do i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혜(Ji-hye Lee). (2024).예비상담자인 상담심리 전공 학부생을 위한 그릿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541-554

MLA

이지혜(Ji-hye Lee). "예비상담자인 상담심리 전공 학부생을 위한 그릿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541-5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