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멘토링이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69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eacher Mentoring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fficacy and Satisfac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평구(Pyung-gu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747~76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가 교사효능감 및 교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수⋅학습 국제조사(TALIS) 2018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교사 2297명을 대상으로 경향점수 매칭을 통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초등교사의 멘토링 참여 여부는 교사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교사의 멘토링 참여유형에 따라 멘토로서 참여하는 교사에 비해 멘티로서 참여하는 교사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교사의 멘토링 참여 여부는 참여유형에 따라 교직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에 멘토 혹은 멘티로서 참여하는 경우와 멘토 교사로서 참여하는 경우에는 교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멘티 교사로서 참여하는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멘토링 참여의 인과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한 최초의 국내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 결과가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대비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는 점에서 실제 교육현장에서 멘토링 프로그램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질적연구 등 관련 후속 연구를 진행한다면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에 대한 여러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in mentoring programs affects teacher efficacy and satisfaction. Methods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us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2018 data.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in mentor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type of mentoring participation of teachers, the negative effect was greater on teachers participating as mentee than teachers participating as mento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entoring negatively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eaching profes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as a mentor or mentee in the mentoring program provided by the school and the case as a mentor teacher, th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ut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as a mentee teac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sults were found.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domestic study to empirically verify the causal eff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ntoring participation. However, in interpre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a qualitative study on the negative aspects of the mentoring program felt by teachers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is conducted as a follow-up study in that results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have been draw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평구(Pyung-gu Lee). (2024).교사멘토링이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747-765

MLA

이평구(Pyung-gu Lee). "교사멘토링이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747-7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