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폭력 가해자에 대한 경찰다이버전 정책 기반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79

영문명
The Case Study of Mulisystemic Therapy on a Perpetraor of school bully as part of the Police Diversion Polic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홍재봉(Jae-Bong Hong) 김윤희(Yun-hee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177~19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경찰 다이버전 정책의 일환으로 의뢰된 학교폭력 가해자를 대상으로 다중체계치료(MST, Multisystemic Therapy)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갈취와 협박으로 학교폭력 신고된 만 14세 남학생(이하 S군)으로, 경찰 다이버전 정책에 의해 선도조건부 훈방조치된 학생이었다. 다중체계치료 매뉴얼에 따라 청소년을 둘러싼 여러 체계(가족, 학교, 또래, 지역사회 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한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5가지 핵심목표를 도출하였고(금주 및 금연, SNS 과사용 조절, 친사회적 친구관계 증진, 비행또래와 어울림 감소, 부모의 긍정적 양육기술 증진) 핵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개입전략을 수립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다중체계치료의 임상과정에 따라 치료팀구성, 찾아가는 서비스 전달체계, 매주의 슈퍼비전을 준수하였다. 다중체계치료 시행을 전후로 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아동행동평가척도(CBCL 6-18), 양육스트레스척도(PSI), 부모 양육 태도(PAT), MMPI-A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 척도를 3시점, 즉, 사전, 사후, 8개월 후 추후에 걸쳐 실시하여 점수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첫째, S군의 문제행동을 측정한 CBCL 6-18의 외현화문제 척도상, 사전에 측정했을 때 임상수준이었던 상태가 사후 검사에서 정상범위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8개월 추후에서도 유지되었다. 사후에 실시한 MMPI-A 결과에서도 사전에 비해, 4번척도(Pd)가 2 표준편차 가까이 점수가 저하되었다. 둘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하고 긍정적 양육태도가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5가지 핵심목표가 모두 개선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행한 다중체계치료가 양육자의 양육기능 향상과 학교폭력, 흡연, 비행청소년과의 어울림 등 문제행동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purpose of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Multisystemic Therapy for school violence perpetrators as part of the police diversion policy.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14-year-old male student who was reported to have school violence, which is extortion and intimidation, and was released on the condition of participating MST. In accordance with the multisystemic therapy manual, five key goals were derived by analyzing risk factors for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through evaluation of various systems surrounding him. An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established to achieve the core goals(i.e., stop smoking and alcohol, controlled use of SNS, making pro-social friends, stay away from delinquents, promoting positive parenting skills of parents). The essential parts of MST as like the therapy team, the visiting service, and weekly supervision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measure pre-post changes, Children Behavior Checklist 6-18, the Parenting Stress Index, the Parenting Attitude Test, and the MMPI-A were conducted. The package of scales was implemented at 3 points as pre-time, post-time, and 8 months follow-up. Results First of all, the level of the externalization problem scale of CBCL 6-18, which was at the clinical range at the pre-test, recovered to the level of the normal range in the post-test, and these results were maintained even at the 8 months follow-up. Regarding MMPI-A, the score was lowered by nearly 2 standard deviations in the scale of Pd compared to pre-test. Then, parenting stress decreased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increased. In addition, all the five core goals were achiev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ultisystemic therapy for school violence perpetrator can help decrease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including school viol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재봉(Jae-Bong Hong),김윤희(Yun-hee Kim). (2024).학교폭력 가해자에 대한 경찰다이버전 정책 기반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177-196

MLA

홍재봉(Jae-Bong Hong),김윤희(Yun-hee Kim). "학교폭력 가해자에 대한 경찰다이버전 정책 기반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177-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