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학생 학습경험 분석: 경북 소재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89

영문명
Analysis of Student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Focusing on Universities in Gyeongbuk, South Kore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손미란(Miran Son) 박지순(Jisoon Park) 추가영(GaYoung Ch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295~31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학생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습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방법 다양한 설문조사에서 질적으로 응답한 학습경험 관련 내용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NodeX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비교과 프로그램(멘토링, 튜터링, 체험형)의 주요 키워드와 그 관계를 시각화하였다. 결과 멘토링 프로그램에서는 ‘피드백’, ‘지원’, ‘적응’ 등의 키워드가 중심이 되었고, 학생들이 자기주도 학습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튜터링 프로그램에서는 ‘시험 준비’, ‘학습 전략’, ‘성적 향상’ 등의 키워드가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이 학업 성취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체험형 프로그램에서는 ‘실습’, ‘경험’, ‘프로젝트’ 등의 키워드가 두드러졌으며, 학생들이 실질적 학습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결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경험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이 학생들의 다양한 학습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비교과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keyword network analysis to examine student experien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t universities. The aim is to understand how these programs impact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Methods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used based on keywords extracted from various survey contents. The NodeXL program was used to visualize the main keywords and their relationships for each type of extracurricular program (mentoring, tutoring, experiential). Results In mentoring programs, keywords such as ‘feedback’, ‘support’, and ‘adaptation’ were central, indicating that students enhanc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In tutoring programs, keywords like ‘exam preparation’, ‘study strategies’, and ‘grade improvement’ were prominent, showing that students focus on academic achievement. In experiential programs, keywords such as ‘practice’, ‘experience’, and ‘projects’ stood out, highlighting a focus on practical learning. Conclusions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universities to design and operate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meet the diverse learning needs of students.

목차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미란(Miran Son),박지순(Jisoon Park),추가영(GaYoung Chu). (2024).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학생 학습경험 분석: 경북 소재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295-316

MLA

손미란(Miran Son),박지순(Jisoon Park),추가영(GaYoung Chu).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학생 학습경험 분석: 경북 소재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295-3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