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 교수의 이직의도 극복 경험
이용수 47
- 영문명
- Experience of overcoming the intention of turnover by nursing profess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유선(Yu-Sun J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239~25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목적은 간호대학교수들의 이직의도 극복 경험을 이해하고 그 경험의 의미와 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간호대학교수들이 이직상황을 어떻게 극복하는지 이들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일반적 구조를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Giorgi(2009)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5년 이상 전임교수로 근무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교수로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로 총 5명이다. 자료 수집은 2024년 3월 1일부터 2024년 5월 18일 동안 개별적 심층면담과 관찰을 통해 수집되었다. 참여자별 면담 횟수는 2~4회였으며, 참여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면담이 진행되었으며, 1회 면담 시 소요된 시간은 1시간 정도였다. 참여자 선정을 위해 목적적 표본추출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2009)가 개발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토대로 자료수집과 분석의 순환적 반복 과정을 거쳤다.
결과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이직의도를 극복한 간호학과 교수의 경험의 일반적 구조는 ‘버티기 힘든 극한상황’, ‘현실 확인’, ‘안정 도모’, ‘성장’, ‘제자리구축’, 으로 총 5개의 상위 주제와 8개의 하위 주제, 40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다.
결론 이들의 경험은 간호학과 교수를 시작하면서 신체적, 심리적으로 어려움, 혼돈, 갈등을 겪으며 이직을 고려하게 되지만 자신이 처한 현실을 확인하고 안정을 도모하여 자신의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제자리를 구축해 나아가는 일련의 과정이었다. 간호학과 교수의 이직관련 문제는 교수 개인의 문제로 국한하여 볼 것이 아니라 다각적 차원의 경험과 어려움을 주의 깊게 인식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직에 대한 대처들은 개인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공식적 차원의 체계적 구체적 해결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간호학과 교수의 이직의도 극복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이직을 극복한 간호학과 교수의 전반적인 이해를 도보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직의도를 극복한 간호대학 교수의 경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 하여. 간호대학 교수가 이직하지 않고 간호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간호대학 학생들의 간호교육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nursing professors overcoming turnover intention and to clarify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 Specifically, it is to derive a general structure by grasping from their perspective how nursing professors overcome the turnover situation.
Method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applying Giorgi(2009)'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are professors of nursing department who have worked as full-time professors for more than 5 years, and a total of 5 people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Data collection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from March 1, 2024 to May 18, 2024. The number of interviews for each participant was 2-4,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a place the participant wanted, and the time required for one interview was about 1 hour. Purposeful sampling was performed to select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a cyclical repetitiv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developed by Giorgi(2009).
Results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experience of nursing professors overcoming the intention to turnover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extreme situation that is difficult to endure’, ‘confirm reality’, ‘promoting stability’, ‘growth’, and ‘construction of place’, and a total of 5 upper themes, 8 lower themes, and 40 semantic units were derived.
Conclusions Their experience was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y began to consider turnover through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confusion, and conflict while starting a nursing professor, but they identified their reality and promoted stability to build a position as their growth took place. Problems related to turnover of nursing professors are not limited to individual professors' problems, but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recogniz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at various levels. However, since coping with turnover is carried out on a personal level, it is desirable to seek systematic and concrete solutions at the formal level. This study walk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nursing professors who have overcome turnover by looking at the nursing professor's experience of overcoming turnover intention and provides evidence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nursing professors who have overcome turnover intention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is result. It aim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by allowing nursing professors to focus on nursing education without changing job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9호 목차
- 전공 연계 ‘기후⋅생태계 챌린지’ 교외 교육활동의 효과성 연구: 예비유아교사의 환경관심도 및 기후환경 위험인식과 공동체 의식,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Bolman과 Deal의 네 가지 프레임으로 바라본 대학의 학과 통폐합 사례 연구
- 유아의 도덕적 판단 및 용서개념 연구: 유아의 연령을 중심으로
- ‘진지한 여가’로서 중년여성들의 ‘라인댄스 무용단’ 활동 경험
- 유치원 방과후 과정 운영 질 제고를 위한 사례연구
- 간호대학 교수의 이직의도 극복 경험
- 교사멘토링이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내외 교육 커먼즈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내 인권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 학교폭력 가해자에 대한 경찰다이버전 정책 기반 다중체계치료 사례연구
- 지식재산 일반 교과를 통한 특허명세서 작성 교육의 시사점 및 개선 방안
- 환경그림책을 이용한 가정연계 놀이가 5세 유아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체육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무경계진로태도가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제품구매 태도가 ESG 교육 및 홍보 필요도에 미치는 영향: ESG 중요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간호인계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 초등학생의 자기자비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팀티칭 보육교사의 교육과정운영 자율성과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가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핵심프로젝트 중심으로
-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학생 학습경험 분석: 경북 소재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수온 그래프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중학생들이 인식하는 인지적 부담에 대한 연구
- 디지털 활용 역량에 관한 예비 영유아 교사의 은유 분석
-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 모색: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중심
- 고등교육 질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게이트키퍼 역할을 하는 수퍼바이저의 내러티브 탐구
- 뉴스 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이슈와 언어 문제 탐색: 2019-2024
- 신체도구를 활용한 유아 주도적 운동게임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공감특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잠재집단에 따른 또래관계 양상 차이와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검증
- 부모의 그릿과 삶의 만족이 전환기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 자녀의 삶의 만족의 매개효과
- 니트(NEET)청년 관련 연구동향 및 도전과제
-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와 학습 의지의 관계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연구: K 대학의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정치참여활동이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치의식의 매개효과
- 행동기준 평정척도(BARS)를 적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대학의 의사소통역량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육 운영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 인구교육을 위한 메모로 프로젝트 수업 설계 모형 개발
-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로 조절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과 돌봄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 자기성찰 및 통찰력이 대인관계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문화지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역할기대, 역할수행, 재직의도
- 언어 간 대조를 근거한 한국어 교재 개발
- 유아대상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머신러닝과 HLM을 적용한 중학생의 자기조절 학습전략 중 행동조절에 대한 학생/부모와 교사/학교 수준의 영향요인 검증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분석: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 학습자의 시간관리 및 자기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관리 모델 연구: 학습분석학적 접근으로
- 성인 상담라포와 상담회기평가 간 관계에서 작업동맹의 매개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TCIT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국어교사의 음성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선호도 및 감정 반응 조사 연구
- 유아의 스마트폰 과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 예비상담자인 상담심리 전공 학부생을 위한 그릿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혼란과 확신 사이에서 줄타기 하는 무전공 입학 대학생의 첫 학기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조직사회화, 팀워크가 전문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습양식 기반 학습전략 향상 모바일 앱 프로토타입 개발
- 문제중심학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
- 중년 대상 음악문화예술교육 연구 동향
- 국어의 조사를 대체하는 다단어 표현 연구: 체계기능언어학의 경험적 은유의 관점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기본심리욕구 연구 동향 분석
- 8주간 유산소운동이 여고생의 신체구성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영양지식이 식태도와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식태도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