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뉴스 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이슈와 언어 문제 탐색: 2019-2024

이용수 82

영문명
Exploring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Issues and Language Problems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News Articles: 2019-2024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안용(Anyong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9호, 621~63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관련 뉴스 기사에 나타난 사회적 이슈와 언어 문제를 탐색하고 그 시사점을 제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분석 대상은 2019년 1월부터 2024년 6월까지 국내 주요 신문사와 언론사의 북한이탈주민 관련 뉴스 기사 561개를 수집하였다. 분석 도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주요 핵심어와 주제를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이슈와 언어 문제를 탐색하고 이에 대한 한국어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3년간 뉴스 보도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정치 관련 기사가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둘째, 주요 핵심어는 ‘정부, 지원, 인권, 보호, 정착’ 등이다. 주요 주제는 북한이탈주민의 인권 보호, 엘리트와 2030세대의 탈북 증가, 한국 정착 과정에서 정신적, 경제적인 차별과 편견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용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정부의 통합적인 지원 정책에 관한 내용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셋째, 남북한 언어 차이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영역별로는 발음과 억양, 어휘 중심의 한국어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뉴스 기사의 주요 주제는 북한이탈주민의 인권 보호와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통합적 지원에 관한 내용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은 경제적, 심리적, 정서적, 언어적 차이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주제는 언론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적응을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al issues and language problems that appear in news articles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suggest their implications. Methods 561 news articles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covered by major domestic newspapers and media companies from 2019 to June 2024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ools, language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major keywords and topics and visualize them.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ocial issues and language problems of North Korean defectors were explored,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mplications were presented. Results 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news coverage has been increasing significantly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political articles have shown an overwhelmingly high proportion. Second, the main keywords are ‘government, support, human rights, protection, and settlement’. The main topics wer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creasing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among elites and the 2030 generation, and complaints of difficulties due to mental and economic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Korea. The content of the government's integrated support policy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Third, it was foun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were struggling with the language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pronunciation, accent, and vocabulary in each area was necessary for them. Conclusions The main topic of the news article was the integrated support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stabl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However, although North Korean defectors complain of ‘difficulty’ due to economic, psychological, emotion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these related topics are hardly covered in the media. Therefore, this paper suggested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for North Korean defectors' language adaptation.

목차

Ⅰ. 서론
Ⅱ. 분석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안용(Anyong Lee). (2024).뉴스 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이슈와 언어 문제 탐색: 2019-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9), 621-638

MLA

이안용(Anyong Lee). "뉴스 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이슈와 언어 문제 탐색: 2019-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9(2024): 621-6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