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정체성 연구동향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옥정달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1호, 189~2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특수교사 정체성 관련 학술지와 학위논문 22편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는 연구시기, 방법, 대상, 주제를 기준으로 설정되었으며,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로 나누었다. 질적 연구는 근거이론, 내러티브, 문화기술지, 일반적 질적연구로, 자료수집방법에는 개인심층면담, 초점집단면담(FGI), 성찰일지, 질문지 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은 특수교사, 예비특수교사, 유아특수교사, 특수체육교사, 진로전담교사 등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 정체성 연구는 2013년 이후 처음 시작되었으며, 학위논문이 학술지 논문보다 많았고, 2019년과 2021년에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다. 질적 연구(68%)가 양적 연구(32%)보다 많았으며, 질적연구 중에서 일반적 질적 연구(58%)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근거이론(27%)과 내러티브(13%), 문화기술지(7%)였다. 자료 수집방법에서는 양적 연구에서 질문지법(32%), 질적 연구에서는 개인 심층면담(32%), 초점집단면담(FGI)(22%), 성찰일지(14%)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특수교사가 가장 많았고, 유아특수교사, 예비특수교사, 특수체육교사, 진로전담교사가 그 뒤를 이었다. 연구 주제는 정체성 형성과 인식이 가장 많았고, 정체성 영향 요인과 탐구가 뒤를 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의 정체성 연구 방향등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22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dissertations on the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ublished from 2013 to the first half of 2024 to examine research trends. The analysis focused on the period, methodology, subjects, and topics, categorizing studies into qualitative (68%) and quantitative (32%)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was further classified into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58%), grounded theory (27%), narrative (13%), and ethnography (7%). Data collection methods included in-depth interviews (32%), focus group interviews (22%), and reflective journals (14%) for qualitative studies, while quantitative studies primarily used questionnaires (32%).
Regarding research subjec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followed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pecia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career guidance teachers. Research activity peaked in 2019 and 2021, with dissertations outnumbering journal articles. The main research topics included identity formation and perception, factors influencing identity, and identity explo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the ident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정된 도식기반교수가 중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국어 교과와 연계한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 발달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공통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위한 국내 에듀테크 활용 중재 연구의 효과 및 질적 분석
-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 나눔에 관한 사례 연구
- 메타분석을 통한 특수교사 소진 영향 변인 탐색: 감정노동,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활용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 특수교육 과학과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실행 경험이 예비특수교사의 과학 교과 교수내용지식(PCK) 변화에 미치는 효과
-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에 대한 특수교사 및 행동중재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근거이론 연구
- 거점 행동중재 지원센터의 현실과 특수교육 현장 지원을 위한 발전 방안 탐색
- 특수교사의 정체성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