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분석을 통한 특수교사 소진 영향 변인 탐색: 감정노동,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Meta-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cusing on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병건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1호, 210~234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감정노동, 사회적 지지,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소진의 하위 요소로는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저하가 포함되었으며, 각 요인과 하위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통합적으로 검토하였다. 2013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특수교사 관련 학술논문 중 포함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23편의 논문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감정노동은 소진과 중간 수준의 정적 상관(��=.277)을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중간 수준의 부적 상관(��=−.300)을 나타내 소진을 완화하는 보호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가장 강력한 소진 완화 요인(��=−.392으로 나타났다. 연구 간 변이 분석 결과, I² 값이 96.773%로 연구 간 차이가 크며, 표본 특성과 연구 방법 차이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소진 예방을 위해 감정노동을 조절하고, 사회적 지지 체계를 강화하며, 회복탄력성을 증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심리적 회복력 강화 교육, 동료 간 협업 문화 조성 등의 실질적인 개입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focusing on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as major factors influencing burnou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Burnout was examined through its three subcomponents: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 total of 23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 between 2013 and 2024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labor showed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277), while social support exhibited a moderate negative correlation (��=−.300), confirming its role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burnout. Additionally, resilience was identified as the strongest mitigating factor for burnout (��=−.392. The heterogeneity analysis revealed a high level of variability among studies (I²=96.773), suggesting that differences in sample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methodologies influenced the findings. Based on these results, strategies to prevent burnout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focus on managing emotional labor,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systems, and enhancing resilience. Practical interventions, such as mentoring programs, psychological resilience training, and fostering a collaborative work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for effective burnout preven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건. (2025).메타분석을 통한 특수교사 소진 영향 변인 탐색: 감정노동,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8 (1), 210-234

MLA

김병건. "메타분석을 통한 특수교사 소진 영향 변인 탐색: 감정노동,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8.1(2025): 210-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