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 교과와 연계한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 발달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Skillstreaming Program Linked to Korean Language Curriculum on the Social Skills, Self-Expression Abilitie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erceptions of Lower-Grade Element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미 박지연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1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어 교과와 연계한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 발달장애 학생의 사회성 기술, 자기표현 능력 및 특수교사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 충남, 전북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소속된 저학년 발달장애 학생 18명으로 이 중 9명의 실험집단 학생이 8주간 16회기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고, 각 종속변인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차이 점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발달장애 학생의 사회성 기술 변화 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표현 능력 변화 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과의 관계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변화 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과 연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killstreaming program linked to Korean language curriculum on the social skills, self-expression abilities, and relationship with special educat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Eightee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ower grades who belonged to special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Chungnam, and Jeonbuk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nine among them were provided with the program for 16 sessions over 8 weeks. This study applied a pre-post control group design, and used an independent samples t test to find out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social skill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self-expression abilities.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in special educators’ perceptions of their relationships with participating stud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nd applied a social skills instruction program linked to the curriculum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정된 도식기반교수가 중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국어 교과와 연계한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 발달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공통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위한 국내 에듀테크 활용 중재 연구의 효과 및 질적 분석
-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 나눔에 관한 사례 연구
- 메타분석을 통한 특수교사 소진 영향 변인 탐색: 감정노동,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활용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 특수교육 과학과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실행 경험이 예비특수교사의 과학 교과 교수내용지식(PCK) 변화에 미치는 효과
-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에 대한 특수교사 및 행동중재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근거이론 연구
- 거점 행동중재 지원센터의 현실과 특수교육 현장 지원을 위한 발전 방안 탐색
- 특수교사의 정체성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