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공통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zing Digital Literacy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d the common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지연 이혜주 정지연 박경옥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1호, 78~102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현 양상을 공통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를 재구성하여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은 공통 교육과정에 비해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 개수와 하위 요소 분포가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두 교육과정은 ‘이해·분석과 평가’의 요소를 가장 높은 비율로 포함하고 있고 해당 하위 요소는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내용이 다양해지고 심화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은 공통 교육과정에 비해 창의적 생산과 공유 활동의 기회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이 장애 특성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구현과 더불어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 요소의 양적��질적인 확장을 통해 공통 교육과정과의 격차를 해소할 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literacy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the common curriculum and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The research reconstructed digital literacy components from previous studie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ontent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curricula.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basic curriculum contained about half the number of digital literacy-related elements and their subcomponent distribution compared to the common curriculum. Both curricula share similarities in emphasizing the 'understanding, analysis, and evaluation' component with the highest proportion. As the school level advances, the digital literacy-related content becomes more diverse and in-depth. However, the basic curriculum offers limited opportunities for creative production and sharing activities compared to the common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ways and further research to bridge the gap with the common curriculum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literacy in the basic curriculum to support disability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of digital literacy sub-component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지연,이혜주,정지연,박경옥. (2025).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공통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8 (1), 78-102

MLA

정지연,이혜주,정지연,박경옥.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공통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8.1(2025): 78-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