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 나눔에 관한 사례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Class Sharing of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녀 최민식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1호, 164~188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 특수교사의 자발적 수업 나눔 활동을 통한 교과 교사로서의 수업에 관한 반성적 성찰에 관하여 실행된 사례 연구이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A시 B지역 중등 특수학급 교사 12인이 연구 참여자로서 수업 나눔 활동에 참여하였다.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 나눔 활동에 관한 현장 연구로 참여 관찰, 집단 면담과 문서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2년간의 수업 나눔 활동을 통한 현장일지를 작성하여 연구자인 동시에 연구 참여자로 활동하였다. 수업 나눔을 통한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연구결과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교과수업이 갖는 의미로 수업 나눔 활동을 통한 자발적 검토를 통해 수업에 관한 반성과 대안적 검토를 하였다. 또한 수업 나눔 활동은 중등 특수학급 교사로 하여금 자신의 수업을 공개·공유함으로 수업 역량을 상호·보완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 수업을 실행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reflective reflection on classes as subject teachers through the voluntary class sharing activitie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2019 to 2021, 12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rea B of City A participated in class sharing activities as research participants. This field study on the class sharing activitie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volved participant observation, group interviews, and document data. The researcher wrote a field journal through two years of class sharing activities and acted as a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class sharing were reflected on and reviewed alternatives through voluntary review through class sharing activities as the meaning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bject classes. In addition, the class sharing activities allowe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ctivities that complement each other's teaching capabilities by making their classes public and shared, and to implement subject classes based on the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정된 도식기반교수가 중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 국어 교과와 연계한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이 초등 저학년 발달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공통 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위한 국내 에듀테크 활용 중재 연구의 효과 및 질적 분석
-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 나눔에 관한 사례 연구
- 메타분석을 통한 특수교사 소진 영향 변인 탐색: 감정노동,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활용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 특수교육 과학과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실행 경험이 예비특수교사의 과학 교과 교수내용지식(PCK) 변화에 미치는 효과
-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에 대한 특수교사 및 행동중재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근거이론 연구
- 거점 행동중재 지원센터의 현실과 특수교육 현장 지원을 위한 발전 방안 탐색
- 특수교사의 정체성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