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G도 유치원 교사 인식을 통해 본 코로나19 이후 유아 발달 실태

이용수 67

영문명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fter COVID-19 through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in Gangwon Stat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원(Kim, ji-won) 이정표(Lee, jung-py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4호, 1073~109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유아 발달 실태를 G도 유치원 교사 인식을 바탕으로 조사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G도 소재 공립, 사립유치원 교사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대응표본 T검정, 분산분석, 평균차이 검정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G도에 근무하는 공립⋅사립유치원 교사의 81%는 코로나19가 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아발달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은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마스크 착용은 의사소통, 사회적 거리두기 및 비대면 원격수업과 유치원 등원일수 감소는 사회관계 형성에서 직접적인 어려움을 일으켰다. 그에 따라 5개의 유치원 교육과정 영역 중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영역은 ‘의사소통 영역’과 ‘사회관계 영역’으로 볼 수 있다. 결론 본 연구가 제시한 유아 발달 지원 방안은 영역별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유⋅초연계 이음교육 강화, 인사⋅예산⋅구조적 측면에서의 행정적 지원 등이다. 또한, 선제적⋅예방적 정책지원을 위한 종단연구 및 유아교육 관계자들 간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공동체 문화연구,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의 정책적 독립성 확보를 위한 기반연구 등이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fter COVID-19 based on teacher perception. Methods To this end, 173 public and private G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G-do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variance analysis, and mean difference test using SPSS 21.0. Results 81% of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G Province recognized that COVID-19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the main factors affecting early childhood development were “wearing masks” and “social distancing.” Specifically, mask-wearing has caused direct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social distancing, non-face-to-face distance learning, and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Kindergarten attendance days. As a result, among the five Kindergarten curriculum areas, the areas that were most affected can be seen as the ‘communication domain’ and the ‘social relations domain’. Conclusions The measures to support early childhood development suggested by this study include the operation of various programs in each area, strengthening early childhood-connected integrated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support in terms of personnel, budget, and structure.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longitudinal studies for preemptive and preventive policy support, community cultural studies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officials, and basic research to secure policy independ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be activa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원(Kim, ji-won),이정표(Lee, jung-pyo). (2024).G도 유치원 교사 인식을 통해 본 코로나19 이후 유아 발달 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4), 1073-1092

MLA

김지원(Kim, ji-won),이정표(Lee, jung-pyo). "G도 유치원 교사 인식을 통해 본 코로나19 이후 유아 발달 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4(2024): 1073-10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