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양상

이용수 67

영문명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hared on ‘Indi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노들(Deul Roh) 옥현진(Hyounjin O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4호, 145~16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제작하고 공유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관련 교수⋅학습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둔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교사들의 대표적인 소통 플랫폼인 ‘인디스쿨’을 통해 공유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자료124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들이 언제,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들은 주로 고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실행하고 있었으며 교수⋅ 학습 자료의 양은 2020년을 기점으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급증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대상으로 고학년이 적합하다는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수⋅학습 자료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일부 내용 요소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일부 자료의 경우 뉴스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성 등의 유관 개념의 내용 요소와 잘 변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들에게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과 특성에대해 좀 더 전문적인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목적은 크게 교과서에 제시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활동 지원, 학습자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디지털 공간에서 나타나는 문제의 예방과 해결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이해의 필요성, 디지털 리터러시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의 지원의 필요성, 평가 목적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 적절한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percep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duced and shar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we analyz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shared through ‘Indie School’, a representative communication platfor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rough this, we investigated when, what content, and why they are provid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Results First, teachers were mainly conduct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us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time for upper grades, and the amou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howed a rapid increase starting in 2020. This can be said to show that teachers' interest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has increased rapidly since COVID-19, and that they recognize that upper grades are appropriate target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content cover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as concentrated on some content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and that some materials were not well differentiated from content elements of related concepts such as news literacy, media literacy, and digital citizenship. This suggests that teachers need a more specialized understanding of digital literacy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Third, teachers' digital literacy education objectives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supporting digital literacy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learners' low digital literacy levels, and preventing and resolving problems that appear in digital spac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cused on the need for teachers to have a more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the need for support in various aspect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valuation purposes and the need for research into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들(Deul Roh),옥현진(Hyounjin Ok). (2024).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양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4), 145-162

MLA

노들(Deul Roh),옥현진(Hyounjin Ok).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양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4(2024): 145-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