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적 지속성 교육(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의 한국 다문화교육에의 적용 방안 탐색

이용수 64

영문명
ABSTRACT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 in South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주은(Jueu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4호, 303~32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다문화교육에 대해 어떠한 논의가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적 지속성 교육(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의 한국 다문화교육에 대한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있다. 방법 본 연구는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맥락에서 최근 미국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문화적 지속성 교육 이론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다문화교육의 배경을 바탕으로 해당 이론의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문화적 지속성 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예비적 고찰의 성격을띤 문헌 연구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첫째, 문화적 지속성 교육의 정의와 개념을 알아보기로 한다. 둘째,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맥락을 이해하고 지금까지 한국 다문화교육에 대한 어떤 논의가 이루어졌는지 분석한다. 셋째, 문화적 지속성 교육의 한국 다문화교육에 대한 적용 방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결과 첫째, 문화적 지속성 교육은 동화주의를 넘어 사회정의를 지향하는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문화적 소수 집단의 공동체성이 약할수록 동화주의의 영향이 더 지배적이기에, 그들의 공동체를 지속하려는 보다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둘째, 문화적 지속성 교육은 한국 다문화교육에서 인종주의와 인종 불평등에 대한 논의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셋째, 문화적 지속성 교육은 모두를 위한 교육을 통해 서로의 문화를 향유하는 가운데 넓은 의미의 학업성취를 이룰 것을 말한다. 더 나아가삶 자체의 교류이며 주체성을 찾는 과정이기를 주장한다. 넷째, 문화적 지속성 교육은 문화적 소수 집단의 공동체를 지속하도록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문화적 소수 집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다문화 교사교육이 교사 양성 교육과정으로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둘째, 문화적 소수 집단 아이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주체적으로 성장할수 있는 기회와 공간을 제공해 주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셋째, 문화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ourse surrou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South Korea, and to propose the application of 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 within South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 a topic receiving significant attention in the United States, into the realm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It sought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this theory within the South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and the backdrop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was structured as a literature review, serving as a preliminary examination intended to guide future research and provide direction for educators to implement 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 in educational settings. The research proceeded in three phases: First, it defined and conceptualized 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 Second, it involved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South Korea to assess the existing discourse on multi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country. Third, the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 within South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Results First, 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 advocates for a shift in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ssimilation to justice-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is particularly pertinent in contexts like South Korea, where cultural minority groups exhibit a weaker sense of community, thus heightening the influence of assimilationism and underscoring the need for proactive measures to sustain these communities. Second, 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 serves as a platform for initiating discussions on racism and racial inequality within the framework of South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this approach emphasizes the attainment of academic success in a broad sense by promoting mutual appreciation for diverse cultures within educational contexts. It posits that this fosters not only the exchange of life itself but also aids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both personal and communal agency. Fourth, 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 is dedicated to sustaining the communities of cultural minorities. Conclusions First, this study suggests a need for a shift in teachers' perceptions of cultural minorities, advocating for the systematic inclus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curriculum for teacher education. Second,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tudents from cultural minorities with opportunities and spaces to express their voices and to develop as agents. Third, the study calls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문화적 지속성 교육의 정의 및 개념 소개
Ⅲ.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분석
Ⅳ. 문화적 지속성 교육의 한국 다문화 교육에의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은(Jueun Lee). (2024).‘문화적 지속성 교육(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의 한국 다문화교육에의 적용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4), 303-320

MLA

이주은(Jueun Lee). "‘문화적 지속성 교육(Culturally Sustaining Pedagogy)’의 한국 다문화교육에의 적용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4(2024): 303-3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