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드라마를 활용한 한⋅일 피동표현 연구

이용수 24

영문명
Research on Interjections in Korean and Japanese Utilizing Drama: Focusing on Responsive and Non-responsive Expression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현경(Park hyunky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4호, 739~75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드라마를 활용한 한⋅일 피동표현을 대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인간의 언어 사용은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이므로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피동표현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어휘 및 통사구조가 유사하나 피동의 개념과 조건에 따라서 차이점이 나타난다. 또한 한국어의 피동표현은 일본어에 비해 유형이 다양하고 생산성이 낮은 특징이 있으므로 체계적으로 비교 연구할 필요가 있다. 방법 첫째,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 ‘미생’ 20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한국어 대화와 일본어 자막을 전사하였다. 그리고 한국어대화에서 접미사 피동, 통사적 피동, 어휘적 피동의 표현 양상과 빈도를 추출하였다. 둘째, 일본어 자막에서 피동의 표현 양상과 빈도를 추출하였다. 셋째, 양 언어의 대응 피동 양상 및 비대응 피동 양상과 빈도를 구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넷째, 한⋅일 피동표현의사례를 제시하였다. 결과 한⋅일 피동표현을 분석한 결과, 접미사 피동은 총 121개로 ‘-이’ 접미사가 56개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다음으로 ‘-리’, ‘-히-’, ‘-기-’ 순으로 나타났다. 통사적 피동은 총 25개로 ‘-어지다’ 19개, ‘-게 되다’ 6개로 나타났다. 어휘적 피동은 총 123개로‘-되다’ 83개, ‘-받다’ 27개, ‘-당하다’ 13개로 나타났다. 한국어가 피동일 때 일본어가 피동이 아닌 경우는 총 176개로 접미사피동이 67개, 통사적 피동이 13개, 어휘적 피동이 96개로 나타났다. 일본어 피동표현은 총 343개로 접미사 피동이 58개, 통사적피동이 74개, 어휘적 피동이 145개로 나타났다. 일본어가 피동일 때 한국어가 피동이 아닌 경우는 총 226개로 접미사 피동이 27개, 통사적 피동이 57개, 어휘적 피동이 76개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어 피동에 대응하지 않는 일본어 피동이 66개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어 피동과 일본어 피동을 드라마의 자막을 대조 분석하여 대응 피동 양상과 비대응 피동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양 언어의 피동표현은 공통점보다 차이점이 두드러졌으며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언어 및 문화적 차이점도 알 수 있었다. 실질적인 한⋅일 피동표현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ast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utilizing drama. Since human language use serves as a tool for communication, passive expressions, frequently used in real-life situations, carry significant meaning. Although Korean and Japanese share similarities in vocabulary and syntactic structures, differences arise based on the concept and conditions of passivity. Moreover, Korean passive expressions exhibit a greater variety and lower productivity compared to Japanese, necessitating a systematic comparative study. Methods First, analyzing the drama ‘Misaeng,’ consisting of 20 episodes aired on tvN, transcripts of Korean dialogue and Japanese subtitles were compiled. The expressions and frequencies of suffix passive, syntactic passive, and lexical passive were extracted from the Korean dialogue. Second, the expressions and frequencies of passivity were extracted from the Japanese subtitles. Third, corresponding patterns and frequencies of passivity in both languages were determined, compared, and analyzed. Fourth, examples of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were presented. Results Upon analyzing Korean and Japanese passive expressions, results revealed a total of 121 instances of suffix passive, with the ‘-이’ suffix being the most frequently used (56 instances), followed by ‘-리,’ ‘-히-,’ and ‘-기-’ in descending order. Syntactic passive amounted to 25 instances, with ‘-어지다’ occurring 19 times and ‘-게되다’ appearing 6 times. Lexical passive totaled 123 instances, with ‘-되다’ accounting for 83 occurrences, ‘-받다’ for 27, and ‘-당하다’ for 13. When Korean was in the passive form, and Japanese was not, a total of 176 instances were identified. This included 67 cases of suffix passive, 13 of syntactic passive, and 96 of lexical passive. Conversely, when Japanese was in the passive form, and Korean was not, a total of 226 instances were observed. This encompassed 27 instances of suffix passive, 57 of syntactic passive, and 76 of lexical passive. Additionally, there were 66 instances of Japanese passive that did not correspond to Korean passive expressions. Conclusions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d and compared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by analyzing subtitles in drama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patterns of corresponding and non-corresponding passivity. The analysis revealed distinct differences rather than commonalities in passive expression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hrough various examples, linguistic and cultural disparities were highlighted. The practical investigation of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serves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Japanese learners studying Korean,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경(Park hyunkyung). (2024).드라마를 활용한 한⋅일 피동표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4), 739-758

MLA

박현경(Park hyunkyung). "드라마를 활용한 한⋅일 피동표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4(2024): 739-7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