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졸 청년층의 성공적 노동시장 진입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17

영문명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Entry into the Labor Market for College Graduat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길재(Gil Jae Lee) 박태양(Tae Yang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4호, 957~97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졸 청년들이 고등교육을 이수하고 난 후 성공적으로 노동시장으로 이행하였음을 나타내는 취업 여부에 영향을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고등교육에 주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5년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대학졸업 후 6년이 경과한 시점까지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를 종단적으롱 추적한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KELS2005)의 5차-12차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한국교육종단연구는 중학교 입학부터, 고등학교 졸업 단계를 거쳐 학생들의 지적⋅정의적 성장과 발달 및 교육 경험을 조사하고, 대학진학과 초기 직업획득과정, 대학원 진학등 만 28세까지 추적 조사하는 종단연구이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12차 조사시 수집한 참여자의 취업여부이고, 해당 종속변수엥영향을 미친 독립변수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성별을 제외한 학생들의 개인특성은 취업 가능성과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등교육단계에서의 교육에 대한열정과 학업성취도, 그리고 전문대학 여부, 수도권 대학 진학 여부, 전공성적, 협업역량이 취업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고등교육을 이수한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는 데 중등교육 단계에서의 학업에 대한열망과 학업성취도, 고등교육 단계에서 대학의 유형, 수도권 대학 진학여부, 전공성적 및 협업역량이 취업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mployment outcomes that indicate successful entry into the labor market for college graduates.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higher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5th to 12th survey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KELS 2005) were utilized, tracing the experiences of students from the 1st year of middle school in 2005 until 6 years after university graduation.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vestigates intellectual and moral growth, developm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students from middle school entry through high school graduation, tracking them up to the age of 28, including their initial career acquisition processes, graduate school enrollment, and more. The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the employment status of participants collected in the 12th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the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this dependent variable.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except for gender,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employment prospects. Factors such as passion for educati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middle school stage, type of university attended, metropolitan area university enrollment, major GPA, and collaborative skills were identified as positively influencing the likelihood of employment.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at the desire for edu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middle school stage, as well as the type of university attended, metropolitan area university enrollment, major GPA, and collaborative skills during the higher education stage, contribute to the increased likelihood of successful entry into the labor market for the young population who have completed hig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길재(Gil Jae Lee),박태양(Tae Yang Park). (2024).대졸 청년층의 성공적 노동시장 진입 영향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4), 957-972

MLA

이길재(Gil Jae Lee),박태양(Tae Yang Park). "대졸 청년층의 성공적 노동시장 진입 영향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4(2024): 957-9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