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예비교원의 현실충격과 진로 낙관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23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CD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Shock and Career Optimism for Stud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어윤경(Au, Yun Ky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4호, 321~33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등교원 양성체계에서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교육실습시 대학생들이 겪은 현실충격과 진로 낙관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중등교원 입직과 교직생활 적응에 시사점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대상은 사범대학 재학생 및 교직과정 이수 대학생 중 교육실습을 경험한 재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현실충격, 진로 낙관성 변인을 측정하였으며, 현실충격이 진로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은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Process Macro 3.4를 활용하여 현실충격과 진로 낙관성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교육실습 현장에서 부정적 현실충격을 낮게 지각할 수록 진로 낙관성이 높아지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 수록진로 낙관성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들째, 현실충격을 지지부족, 현실실망, 업무압박, 자신감 결여 하위요인으로나누어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업무압박 요인을 제외하고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실충격 하위요인별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진로 낙관성에 이르는 간접효과는 업무압박 요인을 제외하고 유의미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검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중등예비교원들이 교직에 진출하여 현실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진로 낙관성이 중요한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검증됨으로써 중등예비교원의 진로준비행동과 향후 교직 현장적응을 위해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shock stress and career optimism, which is essential in the pre-secondary teacher educational practicum, offering implications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adaptation to teaching life.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centered on the effect of reality shock on career optimism and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optimism, the path model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each sub-factor of reality shock to career optimism,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optimism for each sub-factor of reality shock.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making, reality shock, and career optimism were measured for 147 students attending the College of Education who had experienced educational practice and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ing course,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SPSS Process Macro 3.4.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a lower perception of negative reality shock in the educational practice field was associated with higher career optimism, and higher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making was associated with higher career optimism. Second, analysis of the path model by dividing reality shock into the sub-factors of lack of support, reality disappointment, work pressure, and confidence found all factors except work pressure were significant.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reality shock on career optimism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excluding work pressure facto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verified. Conclusions As career optimism is important for pre-secondary teachers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effectively cope with actual shock and stress, the finding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helping pre-service teachers adapt to the teaching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어윤경(Au, Yun Kyung). (2024).중등예비교원의 현실충격과 진로 낙관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4), 321-336

MLA

어윤경(Au, Yun Kyung). "중등예비교원의 현실충격과 진로 낙관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4(2024): 321-3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