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용전공 학생용 창의적 자기개념 척도의 타당화 및 측정 불변성 검증

이용수 3

영문명
Testing the Validation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Creative Self-Concept Scale for Danc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장혜주(Chang, Hye-Jo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4호, 611~63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을 전공하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위해 국문으로 번안된 2요인 11문항의 단축형 창의적 자기개념 척도(A Short Scale of Creative Self-Concept; Karwowski, 2011; Karwowski, Lebuda, & Wiśniewska, 2018)의 타당도와신뢰도를 검증하고, 집단 간의 측정모형 불변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방법 연구 1은 국문판으로 번안된 단축형 창의적 자기개념 척도의 잠재적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하여 158명(고등학생=75명, 대학생=8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주성분 분석 및 내적 일관성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2는 국문판단축형 창의적 자기개념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그리고 측정 불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총 715명(고등학생=343명, 대학생=372 명)에게 실시되었다. 자료는 동시 타당도 검증을 위한 2개의 질문지(무용 정체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예측 타당도 검증을위한 1개의 질문지(창의적 동기특성 척도)를 이용하여 수집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내적 일관성 분석 및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 1에서 주성분 분석의 결과는 2요인 9문항(창의적 자기효능감=5문항; 창의적 개인 정체성=4문항)이 추출되었고, 총 분산의 72.4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9문항의 측정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²=293.84, df=26, p=.001, CFI=.931, TLI= .905, RMSEA=.070). 창의적 자기개념의 하위척도는 무용 정체성과 창의적자기효능감 사이에 .39에서 .80까지의 정적 상관을 보였고,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및 무동기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다집단 확인적요인분석의 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간 완전 형태 불변성은 충족된 반면에, 메트릭 불변성과 스칼라 불변성은 부분적으로 성립되었다. 개념 신뢰도와 내적 일관성 계수는 모두 0.80 이상의 값을 보였다. 결론 본 결과는 국문판 단축형 창의적 자기개념 척도가 무용을 전공하는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개인정체성을 측정하는데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Short Scale of Creative Self-Concept (Karwowski, 2011; Karwowski et al., 2018) and test the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Methods Two studies were conducted. Study 1 was conducted with 158 participants (high school students=75, college students=83) to explore the potential factor structure of the shortened creative self-concept scale adapted into Korean vers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Study 2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15 participants (high school students=343, college students=372)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 Scale of Creative Self-Concept. Data were collected using two other questionnaires for concurrent validity and one questionnaire for predictive validity, and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an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In Study 1, the results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9 items were extracted from 2 factors (creative self-efficacy=5 items; creative personal identity=4 items), accounting for 72.40% of the total variance.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Study 2 showed that the 10-item measurement model fit the data (²=293.84, df=26, p=.001, CFI=.931, TLI=.905, RMSEA=.070; 90%CI: .068, .093). The creative self-concept subscale showed static correlations ranging from .39 to .80 between dance ident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and positively predicted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Measurement coefficients, structural covariance, and measurement residuals were variant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nd conceptual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were all above 0.80. Conclusions Results suggest that the Short Form Creative Self-Concept Scale can be applied to measure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 identity of dance major’s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1: 요인구조의 탐색
Ⅲ. 연구 2: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혜주(Chang, Hye-Joo). (2024).무용전공 학생용 창의적 자기개념 척도의 타당화 및 측정 불변성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4), 611-631

MLA

장혜주(Chang, Hye-Joo). "무용전공 학생용 창의적 자기개념 척도의 타당화 및 측정 불변성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4(2024): 611-6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