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424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al Emotional Competence Scale for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남지영 정혜원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1103~111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교사가 측정할 수 있는 만 3~5세 유아의 사회정서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아 사회정서역량 척도의 구성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척도 문항 초안을 마련하였다. 둘째, 2차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예비조사를 걸쳐 유아 사회정서역량 예비척도 문항을 추출하였다. 셋째, 척도 타당화를 위해 만 3~5세 유아 322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144명의 설문지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나머지 178명의 설문지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과 개방형 설문조사 결과, 7개의 하위요인과 총 133문항을 초기 문항이 도출되었다. 둘째, 델파이 조사 결과, 4개의 하위요인과 총 59문항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하위요인과 총 33문항이 도출되었다. 넷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유아 사회정서역량 척도는 자기인식(6문항), 자기관리(5문항), 사회적인식(7문항), 관계관리(8문항)의 4개 하위요인,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다섯째, 하위요인들의 신뢰도 범위는 .878~.923으로 적정 수준이었다. 결론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 사회정서역량 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사회정서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유아 사회정서역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유아의 사회정서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ocial emotional competence scale for young children aged 3 to 5 years that can be measur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ethods To this end, first, a review of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an open survey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constituent factors of the concept definition and scale of young children social emotional competency, and a draft of scale questions was prepared based on this. Seco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nducting Delphi surveys twice. Third, to validate the scale,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22 infants aged 3 to 5, and 144 of the collected data were survey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maining 178 were verifi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an open survey, seven sub-factors and a total of 133 questions were derived. Second,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four sub-factors and a total of 59 questions were selected. Thir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sub-factors and a total of 33 questions were derived. Fourth,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young childre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scale consisted of 26 questions, including 4 sub-factors of self-awareness (6 questions), self-management (5 questions), social consciousness (7 questions), and relationship management (8 questions). Fifth, the reliability range of the sub-factors was .878 to .923, which was an appropriate level. Conclusion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young children social emotional competenc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uitable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 scale that can measure social and emotional capabilities for young children aged 3 to 5. Third, it is expected that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social and emotional capabilities of young children can be developed and used in various studies by accurately measuring the social and emotional capabilities of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지영,정혜원. (2022).유아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2), 1103-1117

MLA

남지영,정혜원. "유아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2(2022): 1103-1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