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과 직업관, 교직전문성 및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628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ost-COVID-19 Working Environment, Occupational Perspective,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Digital Literacy Recognized by Kindergarten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권정윤 조혜영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287~30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과 직업관, 교직전문성 및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SPSS 23.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부트스트랩으로 총효과,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연구결과는 첫째,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의 하위변인인 컴퓨터리터러시, 정보리터러시, 지식리터러시는 직업관과 교직전문성의 지적기술, 전문적 자율성, 봉사적 사명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과 상사와의 관계 요인은 컴퓨터리터러시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정보리터러시와 지식리터러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수행 요인과 컴퓨터리터러시, 정보리터러시, 지식리터러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개인 및 조직관계 요인은 정보리터러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컴퓨터리터러시와 지식리터러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측정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은 ‘직업관→교직전문성→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의 경로와 ‘교직전문성→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의 경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변화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적응을 도모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COVID-19 working environment, occupational perspective,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digital literacy recognized by kindergarten teachers. Methods For thi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217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It was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23.0 and AMOS 22.0. Total effect and direct/indirect effect were analyzed by bootstrap. Results These are the main findings. First, it showed that computer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and knowledge literacy, which are sub-variables of digital liter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ccupational perspective and intellectual skills, professional autonomy, and the sense of service of teaching professionalism. On the other hand, after COVID-19, i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factors between working environment and the superi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puter literac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formation literacy and knowledge literac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orking factors and computer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and knowledge literacy.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relationship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formation literacy, bu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mputer literacy and knowledge literacy.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was found to be suitab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it was found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after COVID-19 affects the path of “occupational perspective → teaching professionalism → digital literacy” and the path of “teaching professionalism → digital literac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intended to promote adaptation in the changed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by suggesting ways to strengthen digital liter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정윤,조혜영. (2022).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과 직업관, 교직전문성 및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2), 287-300

MLA

권정윤,조혜영.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과 직업관, 교직전문성 및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2(2022): 287-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