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 예비교사의 AI 교육에 대한 인식, 요구 및 AI 교수효능감 분석

이용수 800

영문명
Analysis of perception, requirement for AI education and AI teaching efficacy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방희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1001~10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의 AI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AI 교수효능감을 분석을 통해 사범대학 차원에서의 AI 교육방안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상남도에 소재 K대학 사범대학 재학생을 학년, 전공별로 유층표집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AI 관심도, 이해도, 필요도 영역의 개발문항과 인공지능 교수효능감 측정도구(AI-TEBI)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198명의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중등 예비교사의 AI 교육에 대한 인식, 요구 및 AI 교수효능감의 성별, 전공계열별, 학년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χ2 검정, 독립표본 t-검정, one-way ANOVA를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중등 예비교사의 AI 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낮은 수준이며, 관심도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았다. 둘째, AI 이해 교육에 대한 요구보다 AI 활용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전공계열별, 학년별로 차이가 있었다. 셋째, AI 교수효능감 하위요소 중 AI에 대한 개인 교수 효능, AI와의 상호작용이 낮았고, AI 개념인식과 AI에 대한 교수 결과 기대는 높은 수준이었다. 결론 중등 예비교사들의 AI 관련 교육 경험은 전반적으로 AI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AI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한 전공계열, 학년별 AI 이해교육과 활용교육의 적절한 체계적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등 교원양성기관에서 다양한 전공학과에서의 AI 관련 교육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 for the AI education plan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the perception, requirement for AI education and AI teaching efficacy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sampling students from K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in Gyeongsang nam-do by grade and major. As a research tool, development questions in the areas of AI interest, understanding, and need through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efficacy measurement tools (AI-TEBI) were used. Finally, 198 respondents were analyzed.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by gender, major, and grade. Results Firs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AI education was low,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interest and necessity was high. Second, the demand for AI utilization education was higher than understanding educat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by major and grade. Third, among the sub-elements of AI teaching efficacy, individual teaching efficacy on AI and interaction with AI were low, and expectations for AI concept recognition and AI teaching results were high. Conclusions The AI education experience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 affected the positive perception of AI education. According to this result, it is necessary to operate an appropriate systematic curriculum of AI understanding and utilizing education to enhance AI teaching efficacy by major and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set a plan how to conduct AI education for all majors in college of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방희. (2022).중등 예비교사의 AI 교육에 대한 인식, 요구 및 AI 교수효능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2), 1001-1016

MLA

김방희. "중등 예비교사의 AI 교육에 대한 인식, 요구 및 AI 교수효능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2(2022): 1001-10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