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19 기간 중 여교사가 지각하는 일-가정 양립갈등과 직업평판이 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7
- 영문명
-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job reputation on the sense of vocation perceived by female teachers during the COVID-19 period: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cent wor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다인 이지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315~3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기간 동안 유자녀 여교사들을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갈등, 직업평판, 소명의식, 괜찮은 일의 관계를 확인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일-가정 양립갈등, 직업평판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괜찮은 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온라인으로 전국의 유자녀 여교사 286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갈등, 직업평판, 소명의식, 괜찮은 일을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응답자료 중 최종 249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0.0과 AMOS26.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가정 양립갈등과 직업평판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양립 갈등과 괜찮은 일은 상관관계분석 실시 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최종 모형에서도 일-가정 양립갈등은 괜찮은 일을 정적으로 예측한다는 결과가 지지되었다. 셋째, 코로나19기간 동안 일-가정 양립 갈등과 여교사가 인식하는 직업평판이 소명의식에 이르는 경로에서 괜찮은 일의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괜찮은 일이 일-가정 양립갈등과 직업평판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보면 일-가정 양립갈등과 직업평판이 각각 괜찮은 일을 매개로 소명의식에, 소명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가정 양립갈등/직업평판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괜찮은 일은 완전매개효과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코로나19 기간 동안 여교사가 자신이 경험하는 일-가정 양립갈등과 직업평판이 소명의식으로 향하는 경로에서 괜찮은 일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봄으로서 소명의식을 수행하는 선행기제를 파악하고 상담 개입방법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balance conflict, job reputation, sense of calling, and decent work was checked for female teachers with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work-family coexistence conflict, job reputation and sense of calling was posi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cales measuring work-family balance conflict, job reputation, sense of calling, and decent work was conducted for 286 female teachers with children across the country, and the final 249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20.0 and AMOS26.0.
Results The main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ajor variable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job reputation. Secon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decent work, and the final model also supported the result that work-family balance conflict positively predicts decent work.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decent work on the path from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female teachers' perceived job reputation to a sense of voca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decent work is associated with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job reputation. appeared to be completely mediated. In the light of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job reputation influence the sense of calling and calling through good work, respectivel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balance conflict/professional reputation and the sense of calling It can be said that good work is influencing the perfectly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By examining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a decent job appears on the path that female teachers experience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and professional reputation on the path toward the sense of voc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receding mechanism for carrying out the vocation and the basis of the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 It was intended to provide relevant dat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퇴직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생애사 연구
- 문제중심학습이 수업이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 코로나19에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어린이집 교육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 리좀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들의 바깥놀이
- Test-wiseness 전략이 평가도구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과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맞춤형 학습컨설팅을 위한 학습 스타일 진단 도구 개발
-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과 직업관, 교직전문성 및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 대학생의 게임중독과 게임몰입 군집에 따른 자기통제,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차이
- 블렌디드 러닝에서 대학생의 학습활동이 역량 및 전공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고전 소설 수업이 중학생의 국어 수업에 미치는 효과
- 중년여성을 위한 ‘의자요가’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여대생의 아동기 경험과 부모됨에 대한 인식
- 중등학교 기술 교사 임용시험의 수송기술 영역 출제 동향 분석
- 김종삼 시의 물 이미지 고찰과 교육적 의의
-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교수-학습활동
- 기후변화 주제 문제중심학습(PBL)이 고등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 초등체육의 콜버그식 정의공동체 접근
- 내용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유학생 교양교육 연구
- 베트남 유학생의 “학습자 되어가기”의 경험 탐구
-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개념에 따른 실천적 도덕교육 방안
- COVID-19 영향에 대한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연구
- 유아의 놀이에서 발현되는 전시의 양상과 의미
- 은유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교수매체에 대한 인식
- 수학적 융합 역량의 의미 분석
-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그림책 등장인물의 성별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
- Q방법론을 활용한 특성화고 여학생의 아침 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동기 탐색
- 중도입국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에 대한 연구
- 코로나 19 기간 중 여교사가 지각하는 일-가정 양립갈등과 직업평판이 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놀이성, 공감능력, 창의적 인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환경교육 정책 제안을 위한 교사들의 환경 인식 조사
- 상담자들의 교육분석 부정적 경험 의미 연구
- 유아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소설 속 프레카리아트 인물 읽기
- 학업중단위험요인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Schwab의 실제적 접근 적용을 통한 대학 모듈형 교육과정 개발 연구
- 고교학점제와 성취평가 도입에 따른 진로선택과목 운영 및 이수에 대한 고교생의 인식
- 수업 컨설팅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과 요구, 경험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국내 자기주도 학습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국제교육개발협력 개선 방향 고찰
- The high school classroom group piano lesson strategy applying the principles of Musical Futures in Taiwan
- 특수교육 분야 언어 네트워크 분석 연구의 동향
- 복합매체 활용 미술표현을 통한 융합형 인재 양성 교육에 관한 고찰
-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비폭력대화 활용 초등 영어 프로그램 개발
- 동시대 미술감상 기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미술표현력, 정서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미래사회 대비 미래학교에 대한 제주특별자치도 교원의 인식 분석
- 고교학점제 운영 과정에서 고교 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에 대한 인식과 역할 내용 탐색
- 중학교 교과 교육목표 분석
- 초등학생 상담경험 실태와 학교적응도, 자기주도학습력 간의 관계
-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주간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토픽모델링 분석을 이용한 학습역량 연구 동향 분석 및 대학 학습지원 방향 모색
- 경험 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분석 및 교수학습전략 탐색
- 대학상담사의 상담 외 업무에서의 어려움과 교육 및 지원 요구에 대한 조사연구
- 어머니 문지기행동에 기초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 유형화 및 영향 요인 검증
- 1인가구의 여가 특성이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 한국판 정서 인식 수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간호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취업불안, 외모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등 예비교사의 AI 교육에 대한 인식, 요구 및 AI 교수효능감 분석
- 전북 중등교사의 자아존중감, 학교조직문화, 다문화교육인식 및 다문화교수효능감의 특정간접효과 분석
-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 특성과 사회인지적 요인간의 관계 분석
- 지식생산공동체로서의 위키 기반 지역화 수업 지원 플랫폼 개발 연구
- 영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자아존중감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아동학대 트라우마 성인의 성장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공격성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2호 목차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속 첨단과학기술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