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설 속 프레카리아트 인물 읽기

이용수 226

영문명
Reading the Precariat Characters in the Fiction: Focusing on “Hana's Breath” by Jo Hae-ji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홍인영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2호, 1017~103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조해진의 「하나의 숨」(2019)에 등장하는 불안정 노동에 종사하는 인물에 주목하여, 인물이 겪는 프레카리아트로서의 특성을 분석하고, 소설을 읽은 대학생 독자의 반응을 바탕으로 프레카리아트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 읽기의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하나의 숨」에 등장하는 프레카리아트 인물에 대해 프레카리아트를 ‘형성 중인 계급’으로 보는 정치⋅사회학적 관점과 인간 존재라면 누구나 취약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보는 실존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새로운 계급으로서 프레카리아트가 놓인 현실과 상황의 묘사, 프레카리아트로서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겪는 불안과 소외, 그리고 실존적 취약성이 드러난 부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독자 반응의 분석은 소설 분석의 이론적 토대인 프레카리아트 이론을 기반으로 하되 비평텍스트를 반복적으로 독해한 후 귀납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을 반영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소설은 프레카리아트가 등장하는 사회 현실을 묘사하고 있으며 노동의 불안정성이 야기하는 불안과 소외의 감정, 그리고 정치⋅사회적 차원의 취약성을 넘어서 인간의 실존적인 약함을 그린다. 이에 대해 독자는 인물의 계급적 상황을 사회적인 문제로 강하게 인식하고 그에 대해 비판적인 의식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소설의 인물이 주는 핍진성으로 인해 불안과 공포를 공진(共振)하면서 현상황을 개선해야겠다는 윤리의식을 느끼고, 계급을 넘어서 인간 본연의 취약성에 대한 공감과 연민을 나타냈다. 결론 프레카리아트 인물을 중심으로 소설 읽기를 수행하면서 독자는 인물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가질 수 있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책무감을 인식하며, 보편적인 공감을 획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as a precariat, focusing on the unstable labor character in Cho Hae-jin's “Hana's Breath” (2019), and to deriv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ading a fiction based on the response of a college student reader. Methods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 as a precariat in “Hana's Breath” is two perspectives, one is a political and sociological perspective that sees precariat as a ‘a-class-in-the-making’, and the other is an existential perspective that all human beings have no choice but to have precariousness, that is, vulnerability. The category of analyzing the characters in the fiction is, first, the description of the reality and situation in which precariat is placed as a new class, second, anxiety and alienation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others as precariat, and third, existential vulnerability. The analysis of the reader's response was based on the precariat theory, and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found inductively after repeatedly reading the critical essay. Results The fiction describes the social reality in which precariat appears, describes the feelings of anxiety and alienation caused by labor instability, and depicts human existential weakness beyond precarity at the political and social level. In response, the reader strongly recognized the class situation of the character as a social problem and expressed a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it. In addition, the reader felt an ethical consciousness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while sympathizing with anxiety and fear due to the persecu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story, and expressed compassion for the inherent vulnerability of humans. Conclusions While reading fiction centering on the precariat characters, the reader can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s social context, recognize the responsibility as a community member, and acquire universal empathy.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사회와 프레카리아트
Ⅲ. 「하나의 숨」에 나타난 프레카리아트
Ⅳ. 프레카리아트 인물 중심의 소설 읽기와 문학교육적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인영. (2022).소설 속 프레카리아트 인물 읽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2), 1017-1035

MLA

홍인영. "소설 속 프레카리아트 인물 읽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2(2022): 1017-10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