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이용수 5
- 영문명
- An Analysis of Career Teachers’ Demands for School Career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엽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7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토픽모델링을 활용해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2020~2023년 데이터 중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 및 개선과 관련한 개방형 의견을 작성한 진로전담교사 1,836명의 응답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진로교육에서 키워드 빈도(TF) 기준으로 많이 출현한 키워드는 체험, 교사, 업무, 수업, 활동이었고, 키워드 빈도-역문서 빈도(TF-IDF) 기준으로 많이 출현한 키워드는 연수, 상담, 프로그램, 진학, 교과목이었다. 둘째,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주요 토픽은 1) 입시 위주의 진학교육에 대한 사회 변화, 2) 진로전담교사의 진로교육 시수 안정적 확보, 3) 진로전담교사의 전문적 업무 수행을 위한 전담부서 설치 및 부장 임명, 4) 학교 구성원의 진로교육 인식 개선과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제공, 5) 다양한 진로체험을 위한 지원 강화, 6) 수직·수평적 진로교육 연계 강화의 6개로 도출되었다. 셋째, 도출된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학교급별 토픽 비중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다양한 진로체험을 위한 지원 강화가 가장 높은 비중이었고, 고등학교는 입시 위주의 진학교육에 대한 사회 변화가 가장 높은 비중이었다.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의 마지막에는 학교 진로교육 활성화 및 개선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emands regarding of school career education, as expressed by career teachers, using topic modeling. To achieve this objective, response data from 1,836 career teachers who provided open-ended opinions on the activation and improvement of school career education in the 2020–2023 data of the national survey on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utili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school career education, the keywords that appeared most frequently based on Term Frequency(TF) were “experience”, “teacher”, “task”, “class”, and “activity”, whereas those with the highest frequency based on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TF-IDF) were “training”, “counseling”, and “program”, “enter school”, “subject”. Second, the key topics related to school career education were derived into six categories: (1) social change in entrance exam-oriented education, (2) securing stable instructional time for career education by career teachers, (3)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department and appointment of the head of the department for professional performance of career teachers, (4) providing training to improve the awareness of career education and strengthen competence of school members, (5) strengthening support to provide various career experiences, and (6) reinforcing vertical and horizontal integration of career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portion of topics by school level related to school career educati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strengthening support to provide various career experiences, and high school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social change in entrance exam-oriented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ions, the study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for activating and improving school career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