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Job Crafting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임수원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57권 제1호, 25~5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잡 크래프팅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4년 9월 1일부터 6일까지 KCI 등재지에 발표된 잡 크래프팅 관련 연구를 수집하였고, 최종 33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으로부터 추출한 440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R Studi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잡 크래프팅에 관한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 주제어 중심성, 하위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키워드의 출현빈도는 잡 크래프팅을 제외하고, 업무몰입, 직무만족, 혁신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심성 분석 결과 직무만족, 혁신행동, 업무몰입이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연결 중심성에서는 간호사, 교사 순으로 높았고, 매개 중심성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 직무성과, 근접 중심성은 간호사, 직무성과 순으로 높았다. 셋째, 하위 네트워크 분석 결과 11개의 하위 네트워크가 도출되었고, 그중에서도 7개의 하위 네트워크가 집중화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잡 크래프팅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job crafting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o achieve this objective, 336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CI-listed journals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6, 2024, focusing on studies that included "job crafting" and related terms in their titles or keywords. A total of 440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se articles. Using R Studio, we conducted network structure analysis, keyword centrality analysis, and sub-network analys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job crafting research.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eyword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at, excluding ‘job crafting,’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keywords were ‘work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Second,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innovative behavior,’ and ‘work engagement’ had the highest degree, betweenness, and closeness centralities. Additionally, in degree centrality, 'nurse' and 'teacher' also ranked high, while in betweenness centrality,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ranked among the highest. In closeness centrality, 'nurse' and 'job performance' were highlighted as central keywords. Third, sub-network analysis identified 11 sub-networks, among which 7 were significantly concentrated around specific research them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job crafting research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