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 근로자의 셀프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이용수 63

영문명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in Adult Work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소연(So yeon Kim) 좌은정(Eun jung Jwa) 최보영(Bo young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1107~111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성인 근로자의 셀프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 성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직무성과, 자기효능감 척도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5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Window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와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성인 근로자의 셀프리더십은 직무성과를 높이는데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셀프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자기효능감이 높고 낮음에 따라 셀프리더십이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성인 근로자의 직무성과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능력을 스스로 판단하는 자기효능감을 높인다면, 셀프리더십이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in adult workers. Methods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adult workers nationwide, using scales for self-leadership, job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A total of 350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oder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6.0 for Window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self-leadership of adult worke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self-leadership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was verifi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performance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levels of self-efficacy.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enhance job performance among adult workers, increasing self-efficacy, which involves self-assessment of one's abilities,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연(So yeon Kim),좌은정(Eun jung Jwa),최보영(Bo young Choi). (2024).성인 근로자의 셀프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1107-1117

MLA

김소연(So yeon Kim),좌은정(Eun jung Jwa),최보영(Bo young Choi). "성인 근로자의 셀프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1107-1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