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교사 및 입학사정관의 인식 분석: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및 평가 방식 중심으로

이용수 143

영문명
Analysis of Teachers' and Admission Officers' Perceptions on the Student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cusing on the Documentation and Evaluation of Detailed Competence and Special Activity Record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용(Yong Cho) 유지선(Ji-sun Yo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49~7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및 평가 방식에 있어 교사와 입학사정관들의 겪는 어려움을 심층 면담을 통해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의 보다 효과적인 기재 및 평가 방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대입지도 경력이 있는 교사 전문가 10명과 전⋅현직 입학사정관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의 질문은 학생부종합전형에서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실태 및 개선 방향,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변화 방향,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에 필요한 필수 평가 요소에 관한 내용 등이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결과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교사 및 입학사정관의 인식 분석 결과는 크게 다섯 가치 즉면인 인식, 현황, 한계, 지원, 방안으로 나누어 의견이 파악되었다. 이를 통해, 학생부종합전형에서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작성과 평가에 대한 어려움이 드러났으며, 향후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와 이를 지원하고 활용할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결론 첫째,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과 수업 설계 능력 향상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부종합전형의 공정성을 위한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방식 개선이 시급하다. 셋째, 학생부 기재 축소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학생들을 놓치지 않기 위한 다양한 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more effective methods of documenting and evaluating detailed competence and special activity records in the student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challenges faced by teachers and admission officers in writing and assessing these records. Method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xpert teachers experienced in college admissions guidance and 13 current and former admission officers. The interview questions included topics such as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documenting detailed competence and special activity records in the student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the anticipated changes in documentat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essential evaluation elements required for detailed competence and special activity records. Results The analysis of teachers' and admission offic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student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vealed opinions categorized into five key aspects: perception, current status, limitations, support, and solutions. This analysis uncovered the difficulties in documenting and evaluating detailed competence and special activity records within the student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Furthermore, the need for future support mechanisms and effective utilization methods for documenting these record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identified. Conclusions Firstly, there is a need to enhance teachers' abilities in curriculum management and lesson design. Secondly, urgent improvements are required in the documentation of detailed competence and special activity records to ensure fairness in the student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Thirdly,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necessary to evaluate a broader range of experiences to avoid overlooking students with high potential, especially due to the reduction in student record docum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고등학교 교육 변화에 따른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평가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Yong Cho),유지선(Ji-sun You). (2024).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교사 및 입학사정관의 인식 분석: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및 평가 방식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49-73

MLA

조용(Yong Cho),유지선(Ji-sun You).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교사 및 입학사정관의 인식 분석: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및 평가 방식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49-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