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와 학업수행능력의 조절효과

이용수 84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career matur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성은(Sungeun 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595~60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율성 수준의 매개효과, 그리고 학업수행능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아동청소년 진로성숙도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12차년도(2019)와, 13차년도(2020), 자료 1,18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2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등의 기술적 통계분석과 함께 PROCESS macro 4번 매개효과모형, 그리고 7번 조절된 매개효과모형 검증을 통해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아동의 자율성, 진로성숙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자율성은 진로성숙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아동의 자율성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아동의 자율성의 관계에서 학업수행능력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부모의 성취압력이 자율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학업수행능력이 더욱 강화하였다. 넷째, 학업수행능력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여, 학업수행능력이 높을수록 성취압력이 자율성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부정적 매개효과가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증진을 위해 부모의 올바른 양육태도가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자율성을 지지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점, 학업수행능력과 같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효과있는 양육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이와 더불어 개인 특성에 따른 양육방식의 효과 비교분석, 질적 연구를 통한 성취압력, 자율성에 대한 심층 분석 등의 후속연구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hild's level of autonom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career maturity. Method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12th (2019) and 13th (2020) waves of the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with a total of 1,187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 software, including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dditionally, the PROCESS macro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specifically the 4th mediation model and the 7th moderated mediation model. Results First,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had a negative impact on children's autonomy and career maturity, and autonomy ha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maturity. Secon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had a negative impact on career maturit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autonomy. Thir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performanc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children's autonomy. In other words, academic performance enhanced the negative impact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n autonomy. Fourth,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by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was significa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the stronger the negativ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pressure on career maturity through autonomy.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s need the right parenting attitude to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that supporting autonomy is helpful, and that effective parenting methods can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cademic performance.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as suggested, such a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parenting method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chievement pressur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in-depth analysis of autonom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은(Sungeun Jung). (2024).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와 학업수행능력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595-605

MLA

정성은(Sungeun Jung).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와 학업수행능력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595-6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