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 청소년의 지역사회기반 사회성 발달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13세에서 22세까지

이용수 168

영문명
A longitudinal case study on community-based social development of autistic adolescent: From 13 to 22 years old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류은진(Eunjin Ryoo) 이상희(Sang Hee Lee) 전정아(Jung A Jeon) 조민지(Min Ji Ch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777~79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자폐 청소년 A의 13세에서 22세까지 사회성 발달의 과정 및 촉진요인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방법은 종단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Yin의 사례연구 방법에 따라 인터뷰를 통한 설명하기를 활용하였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자료 및 분석의 다각화를 도모하였다. A의 사회성 발달 중재에 참여한 특수교사, 미술치료사와 인터뷰, 미술작품 및 제작의도에 대한 A가 설명하는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외 사진과 카톡 등 공동체 활동 자료도 수집하였다. 분석과정에서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촉진요인을 도출해내고 점검하였다. 결과 A의 사회적 발달 촉진요인으로 첫째, 중학교때 통합교육과 1:1 맞춤 중재들을 통해 학교폭력의 상처를 치유하고 교사와 반친구들의 지지를 받은 점, 둘째, 고등학교 이후 가족과 함께 마을교육공동체에 참여하면서 사회적 교류의 기회가 많았던 점. 마지막으로 자폐청소년의 부족한 언어표현을 보완하는 모래놀이, 미술, 노래 등을 활용하여 표현할 기회가 많았던 점으로 선정하였다. 결론 A는 자폐로 인해 학교폭력을 경험하였으나 중학교이후 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의 다양한 중재를 통해 사회성을 발전시켜가며 사회와 소통하고 살아가고 있다. 연구는 자폐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해 지역사 기반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더 나아가 자폐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기반 평생교육 시스템 구축에 관한 참고사례로 쓰여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cases longitudinally where ‘A’ - autistic adolescent - developed social skills through various interventions from ages 13 to 22 and discusses promoting factors. Methods We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with special education instructor, art therapist, and ‘A’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development intervention of autistic adolescent, and art product and digital talk etc. of ‘A’, and were analyzed base by narrative explanation on Yin's single case study method.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dings, a multi-faceted approach to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as employ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rt therapists who were involved in A's social development interventions. Results Factors promoting individual A's social development include: firstly, engagement in one-on-one sessions with a special education instructor as part of integrated educational interventions during middle school, coupled with sandplay therapy to address the aftermath of school violence under the guidance of a professional counselor, alongside supportive interactions with peers and the homeroom teacher. Secondly, active participation in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itiative since high school, involving collaborative engagement with family members, fostering self-expression through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and sustained peer interaction. Lastly, utilization of non-verbal expressive tools such as sand play therapy, art therapy, and singing to facilitate self-reflection and communication to others. Conclusions ‘A’ who encountered school violence as a result of autism, has nonetheless progressed in social skills, self-expression, and societal communication through diverse interventions facilitated by both the school and village educational community since middle school. This study posits that community-based intervention is imperative for the social advancement of autistic children, and furthermore, it is poised to serve as a reference case in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system tailored for adolescent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A의 사회성 발달
Ⅴ. 사회성 발달 촉진 요인 고찰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은진(Eunjin Ryoo),이상희(Sang Hee Lee),전정아(Jung A Jeon),조민지(Min Ji Cho). (2024).자폐 청소년의 지역사회기반 사회성 발달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13세에서 22세까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777-794

MLA

류은진(Eunjin Ryoo),이상희(Sang Hee Lee),전정아(Jung A Jeon),조민지(Min Ji Cho). "자폐 청소년의 지역사회기반 사회성 발달과정에 관한 종단적 사례연구: 13세에서 22세까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777-7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