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powerment Experiences of Twelve Teachers who lead the Curriculum Department in High School
발행기관
한국교육정치학회
저자명
남혜정 조영하
간행물 정보
『교육정치학연구』제32권 제1호, 157~18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올해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앞둔 시점에서 경기도 A시 소재 12개 고등학교의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의 공통된 특징과 의미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교 조직의 권한 구조의 변화와 교사 리더십 발현의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개별 및 집단면담을 통해 수집된 질적자료의 분석을 통해, 고교학점제가 고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기능하려면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가 필수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장교사들은 관계적 임파워먼트와 동기적 임파워먼트 경험을 통해 자율, 책임, 신뢰의 가치에 근거한 교육과정 전문성과 의사결정 전문성을 갖추어 나갔으며, 이는 동료 교사들에게 동의 및 수용되면서 부장교사의 직위 권한이 리더십 권한으로 확장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발견한 주요 현상은 교육과정부 부장교사들의 동기적 임파워먼트 경험은 과업 수행과 학교 조직의 권한 구조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쳤으며, 나아가 교사 리더십 발휘와 분산을 유도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현상은 고교학점제 등의 학교 정책의 성패가 결국 단위 학교에서 교육 정책을 실행하는 실질적 주체인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리더십에 달려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empowerment experiences of teachers who lead the curriculum department in 12 high schools in City A, Gyeonggi Province, ahead of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year, and to phenomenologically reveal the meaning of changes in the authority structure of school organizations and the expression of teacher leadership. Through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owerment of the department leaders is a prerequisite for the successful functioning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high schools. Specifically, the department leaders acquired curriculum expertise and decision-making expertise based on the values of autonomy, responsibility, and mutual trust through relational empowerment and motivational empowerment experiences, and this expanded their positional authority into leadership authority as it was agreed upon and accepted by fellow teachers. In particular, the main phenomenon discovered in this study is that the motivational empowerment experiences of the department lead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asks and the changes in the authority structure of their schools, and further induced the exercise and decentralization of teacher leadership. The phenomenon revealed i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school policies such a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ultimately depends on the empowerment and leadership of teachers, who are the acting subjects implementing educational policies at school sit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혜정,조영하. (2025).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교육정치학연구, 32 (1), 157-187

MLA

남혜정,조영하.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교육정치학연구, 32.1(2025): 157-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