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의 문화자본이 초등학생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의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32

영문명
The Effect of Parents’ Cultural Capita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민희(Min-hee Kim) 김한성(Han-Seong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1063~108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문화자본과 초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부모의 문화자본과 수학 학업성취도 사이에서 정의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TIMSS) 2019의 초등학교 4학년 4,637명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배경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주요 변수로는 부모의 문화자본(사교육기간, 서적보유량, 부모교육수준), 학생의 정의적 특성(흥미 및 자신감), 그리고 학업성취도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부모의 문화자본과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정의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의 문화자본은 초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학생의 흥미와 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생의 흥미는 수학 학업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자신감은 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의 문화자본은 흥미와 자신감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전체 분산의 일부분만을 설명하는데 그쳤다. 넷째, 흥미와 자신감은 부모의 문화자본과 학업성취도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부모의 문화자본은 직⋅간접적으로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학생의 정의적 특성이 매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는 문화자본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구체적인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학생의 정의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적 변화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parents' cultural capital and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mathematics achievement, particularly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math achievement.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TIMSS) 2019 data of 4,637 Korean 4th-grade students, focusing on their math achievement and background responses. The main variables utilized are parents’ cultural capital (duration of extra lessons, number of books owned, parents’ education level),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terest, confidence), and achievement data.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data's appropriateness for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between parents' cultural capital and achievement. Results First, parents’ cultur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math. Second, students’ interest showed a negative effect on achievement, while 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Third, parents’ cultural capital positively influenced both interest and confidence, but it only explained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variation. Fourth, interest and confidenc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parents’ cultural capital and achievement. Conclusions Parents’ cultural capital can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affective characteristics playing a mediating role.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s specific pathways through which parents’ cultural capital impacts students’ achievement but also suggests a recommendation for educational changes to improve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희(Min-hee Kim),김한성(Han-Seong Kim). (2024).부모의 문화자본이 초등학생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의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1063-1083

MLA

김민희(Min-hee Kim),김한성(Han-Seong Kim). "부모의 문화자본이 초등학생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의적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1063-10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