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제결혼 다문화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간 구조관계: 사회적 지지의 다중집단분석

이용수 96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Self-esteem, and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Parents in International Marriage: A Multi-Group Analysis of Social Suppor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종훈(Jong Hun Lee) 김연화(Yeon Hwa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449~46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제결혼 다문화 12세 청소년의 학교생활 관련 변인 간 구조관계를 분석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2기 패널 3차(2021년) 데이터로 SPSS 23.0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사회학적 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 분석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 및 자아존중감에 부모의 양육태도 중 감독형은 정(+)의 영향을, 방임형은 부(-)의 영향을, 그리고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에 정(+)의 유의한 영향이 각각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중 감독형과 학교생활 간 자아존중감은 정(+)의 부분매개효과를, 방임형은 부(-)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에 대한 다중집단 분석 결과, 교사지지는 감독형 양육태도와 학교생활 간,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간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국제결혼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을 위한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교사지지의 강화 방안을 정책적⋅이론적⋅실무적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12-year-olds in international marriages. Methods For this study, Using the MAPS 2nd panel 3rd (2021) data, sociodemograph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social support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AMOS 23.0 program. Results First, among parents' parenting attitudes, the supervisory typ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chool life and self-esteem of multicultural youth, the neglect type had a negative (-) effect, and the self-esteem had a positive (+) effect on school life. Second, among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self-esteem between the supervision type and school life had a positive (+)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the neglect type had a negative (-) partial mediating effect. Finally, as a result of a multi-group analysis of social support, teacher support was confirm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upervisory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life, and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life.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measures to strengthe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self-esteem, and teacher support for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youth in international marriages were presented at the policy, theoretical, and practical leve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훈(Jong Hun Lee),김연화(Yeon Hwa Kim). (2024).국제결혼 다문화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간 구조관계: 사회적 지지의 다중집단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449-466

MLA

이종훈(Jong Hun Lee),김연화(Yeon Hwa Kim). "국제결혼 다문화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 간 구조관계: 사회적 지지의 다중집단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449-4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