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사회정서지원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보람과 어려움

이용수 136

영문명
The Reward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Young Children Social Emotion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황인애(In-ae Hwang) 주영신(Young-shin Ju) 권경숙(Kyung-sook K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309~33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 사회정서지원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보람과 어려움을 탐색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서 만 3~5세 유아반 담임을 맡고 있는 유아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각각 2회씩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연구참여자 내부검증과 연구자 간의 논의 및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의 자문의 과정을 거쳤다. 결과 유아 사회정서지원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보람은 유아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고 사회관계를 형성할 때, 유아가 상황에 적합한 정서를 표현하고 사회적 기술을 사용할 때, 가정에서의 변화 및 실천이 있을 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유아 사회정서지원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은 유아의 발달적 개인차로 인한 어려움, 사회정서발달을 지원하는 상호작용의 방법적인 어려움, 사회정서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시간 확보 및 인력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지원 방법에 대한 학부모의 이해 및 협조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지원함에 있어 다양한 측면에서 보람과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에 유아교사의 사회정서교수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연수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관련한 사례별 지원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유아교사에게 보다 실제적인 지원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유아의 개별 수준에 적합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수준을 이해할 수 있는 준거 및 지표 개발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가정연계프로그램을 통해 가정과 기관이 함께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draw implications by exploring the reward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upporting you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two in-depth interviews with 17 teachers of 3 to 5-year-old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findings derived through data analysis underwent internal validation by the study participants, discussions among researchers, and consultations with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in supporting young children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the teachers feel rewarding when the children control their emotions and build social relationships by themselves, appropriately express emotions and use social skills for situations, and also when there are progress and practices at home. In addition, the t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supporti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due to developmental differences among the children, challenges in using interaction methods to support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lack of time and manpower, and parents’ insufficient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with supporting method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rewards a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you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in various aspec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professional developmental training and programs that can improve social emotional teaching capabili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ore practical support needs to be provid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by seeking case-by-case support plans related to you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criteria and indicators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al levels, so that appropriate supports for each child’s developmental level can be provided.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prepare plans for both of families and institutions to support you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together through family-linked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인애(In-ae Hwang),주영신(Young-shin Ju),권경숙(Kyung-sook Kwon). (2024).유아 사회정서지원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보람과 어려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309-330

MLA

황인애(In-ae Hwang),주영신(Young-shin Ju),권경숙(Kyung-sook Kwon). "유아 사회정서지원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보람과 어려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309-3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