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 조직문화, 일과 삶의 균형,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용수 37

영문명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Work-lif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Influencing the Happiness of Infant Teache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윤(Ji Yoon Kim) 김정희(Jung Hee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485~50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 조직문화, 일과 삶의 균형, 직무만족도의 변인 간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을 높이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3년 7월 3일부터 12일까지 G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총 418부의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여 불성실한 답변이 있는 18부를 제외한 400명의 응답을 분석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구조모형 분석과 팬텀변수를 활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는 모두 일과 삶의 균형, 직무만족도, 행복감과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어린이집의 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가 높을수록 일과 삶의 균형이 높고 직무만족도도 높으며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도 높음을 의미한다. 둘째, 조직문화의 유형에 따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과 삶의 균형과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집단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는 영아반 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을 매개하여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아반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매개하여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문화의 네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과 직무만족도가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집단문화, 발전문화, 합리문화는 행복감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위계문화는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를 통해 영아반 교사의 조직문화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과 직무만족도가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위계문화의 경우에는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일과 삶의 균형과 직무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행복감을 높이는 역할을 함으로써 특히 일과 삶의 균형과 직무만족도가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structural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ulture, work-lif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that affect the happiness of infant teacher was analyzed, and through this, a plan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infant class teachers was suggested, and important basic data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 and their relationship with infants were provided. Method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400 infant teacher working in daycare center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were conducted. Results According to the main findings, first, work-life balance,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were all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the higher the work-life balanc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happiness of infant teach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in the impact of each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happiness, it was found that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affect happiness by mediating the work-life balance of infant teacher.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work-lif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were twofold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happiness. However, it was discovered that hierarchical culture did not directly affect happiness, whereas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had a direct impact on happiness. Conclusions The study found that work-lif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a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happiness of infant teacher. In particular, hierarchical culture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happiness of infant teacher, but it indirectly increases happiness through work-lif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work-lif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infant teachers'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윤(Ji Yoon Kim),김정희(Jung Hee Kim). (2024).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 조직문화, 일과 삶의 균형,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485-502

MLA

김지윤(Ji Yoon Kim),김정희(Jung Hee Kim). "영아반 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 조직문화, 일과 삶의 균형,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485-5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