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Expectations, Resilience, and Body Satisfaction of Ballet Learners in the New Normal Era

이용수 17

영문명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원혜인(Hye-in 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699~71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코로나 팬데믹 이후 뉴노멀 시기는 무용 교육에서 비신체 활동적 무용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뉴노멀 시기는 적합한 학업 유지를 위한 무용 교육 기반 신체활동에 따른 심리적 요인과 관련된 영향은 검증되어야 한다. 방법 이 연구의 대상은 발레관련 교과 수강 여학생 288명을 유목적 편의표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 방법에서 표준회귀분석을 적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가설검증 결과 첫째, 무용에 대한 기대의 ‘건강과 활력’과 ‘활력’은 ‘뚱뚱함에 대한 불만족, 체형에 대한 수치심과 열등감’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무용 기대감의 ‘건강과 활력’과 ‘활력’은 ‘체형지각에 대한 태도’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둘째, 무용에 대한 기대의 ‘성취와 즐거움’은 ‘침착과 인내’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무용에 대한 기대의 ‘성취와 즐거움’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무용에 대한 기대의 ‘성취와 즐거움’은 ‘흥미’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셋째, 회복력의 ‘침착함과 인내’는 ‘뚱뚱함을 느끼는 것에 대한 불만족, 수치심과 체형에 대한 열등감’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무용에 대한 기대의 ‘건강과 활력’은 ‘체형에 대한 불만족’, 신체상 인식에 대한 우려와 관련이 있다. 무용에 대한 기대의 ‘성취와 즐거움’은 ‘침착과 인내’, ‘미래에 대한 희망’, ‘관심’과 관련이 있다. 회복력의 ‘침착과 인내’는 ‘체형에 대한 불만족’과 관련이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Physical movements and non-physical activities appeared in dance education learning during the new normal period. Physical movements and non-physical activities that appeared in the dance education learning in the new normal period can affect learning dance. a study requests to verify the related to psychological factors stemming from engagement in dance education based on body movement and physical activities for maintaining seamless academic progress during the new normal era. Methods In this study, 288 majors who chose ballet-related classes in university education subjects were purposefully conveniently sampled. The hypothesis is ver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health and vitality’ of the ED significantly affected BSQ's ‘dissatisfaction about feeling fat, shame & inferiority about body shape’. ‘health and vitality’ and ‘concern’ of the E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SQ's attitude concerning body image perception. Second, ED's ‘achievement and pleasur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lmness and patience’. ED's ‘achievement and pleasur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ope for the future’. ED's ‘achievement and pleasur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terest’. Third, the ‘calmness and patience’ of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issatisfaction about feeling fat, shame, and inferiority about body shape’. Conclusions The ‘health and vitality’ of expectations for dance is related to ‘dissatisfaction about body shape’ and concerning body image perception'. The ‘achievement and pleasure’ of expectations for dance is related to ‘calmness and patience’, ‘hope for the future’, and ‘interest’. The ‘calmness and patience’ of resilience is related to ‘dissatisfaction about body shap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