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연구에 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이용수 86

영문명
A Scoping Review on Child-based Self-worth Research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경민(Kyong Min Lee) 이상희(Sang Hee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1호, 227~24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에 관한 연구를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근거를 마련하고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4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관련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제범위 문헌고찰 수행 절차에 따라 연구 질문은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로 도출하고 관련 문헌조사를 진행하였다. 검색을 통한 결과로 나타난 195편의 문헌 중 제외기준과 선정기준을 거쳐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문헌은 22편이었다. 결과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연구는 2015년과 2017년 각각 1편씩 보고되었고 2019년부터 매년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모든 연구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기 보고식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변인 간의 관계를 나타낸 양적연구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5편으로 가장 많았고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4편, 자녀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2편이었으며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1편이었다. 관련 변인으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것은 심리적 통제로 총 11편의 연구에서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정적상관관계가 보고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향후의 연구에서는 어머니뿐 아니라 아버지나 자녀로 연구대상의 범위를 확장하고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질절연구나 혼합연구를 통한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는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사회의 부모와 자녀의 긍정적인 관계를 위한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관련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child-based self-worth through a scoping review, laying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Methods To achiev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studies related to child-based self-worth published in Korea up to May 2024. According to the scoping review procedure, the research question was framed as, “How has research on child-based self-worth been conducted?” A relevant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Out of 195 papers identified through the search, 22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after applying exclusion and inclusion criteria. Results Studies on child-based self-worth were reported once in 2015 and 2017, with continuous research conducted annually since 2019. All studies were quantitative research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based on self-reported responses collected through surveys. The majority of the studies focused on mothers (15 papers), with 4 papers focusing on parents, 2 papers on children and mothers, and 1 paper on children and parents.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related variable was psychological control, whic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worth contingent on children in a total of 11 studies. Conclusions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scope of subjects to include not only mothers but also fathers and children. Moreover, more diverse approaches, such as qualitative or mixed-method research, are needed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future research by reviewing studies on child-based self-worth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follow-up studies aimed at promoting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Korean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민(Kyong Min Lee),이상희(Sang Hee Lee). (2024).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연구에 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1), 227-242

MLA

이경민(Kyong Min Lee),이상희(Sang Hee Lee).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연구에 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1(2024): 227-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